![]() |
정원오 성동구청장 |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자립준비 청년의 안정적인 사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성동형 자립지원 패키지 사업’ 추진에 나선다.
자립준비 청년은 아동 양육시설 및 위탁 가정의 보호를 받다가 18세 이후 보호가 종료되어 홀로서기를 준비해야 하는 청년을 의미한다. 보호종료 후 5년 이내에 있는 자립준비청년의 경우, 경제적인 기반이 약해 학업이나 취업 활동을 이어가기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많다.
이에 구는 자립준비청년의 성공적인 사회 정착을 위해 생계, 경제, 주거, 취업, 정서를 총망라한 자립준비 청년 대상 패키지 지원 사업을 선제적으로 추진한다.
먼저, 2022년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립준비 청년 자립지원 조례를 제정하여 자립준비 청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를 토대로 2023년부터 ‘성동형 자립준비 청년 지원사업’을 운영 중이다. 정부지원과는 별도로 보호 종료 시 1회 100만원의 자립정착금과 함께 매월 10만원씩 추가 지급하여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고 있다.
2025년에 정부 자립수당 지원이 종료되는 청년을 시작으로 순차적인 지원을 이어갈 방침이다. 지원사업 신청은 신분증과 통장사본을 지참하여 성동구청 아동청년과 또는 동 주민센터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구는 자립수당과 같은 생계 분야 지원뿐만 아니라, ‘성동구청년지원센터’와 연계한 주거 자립 및 자산 관리 등 경제 분야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자립준비 청년의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청년 주거정책과 주택에 대한 정보를 상시 제공하고, 컨설팅을 통한 공간 솔루션 안내도 진행한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성동형 자립지원 패키지’ 사업은 자립준비 청년이 경제적 부담을 덜고 사회구성원으로서 건강하게 자립할 수 있는 버팀목 역할을 한다”며 “앞으로도 성동구 청년들이 꿈과 희망을 마음껏 펼치고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