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특위 21·25일 추가 청문회…여야, ‘707특임단장’ 놓고 공방

윤석열 대통령·명태균 등 증인 136명 채택
與 “민주당, 곽종근 조직적으로 회유” 주장
野 “바뀐 것 없어…의원 배지 뗄 자신 있나”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서 증인으로 참석해 있다. 이상섭 기자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는 13일 활동기간을 늘려 청문회를 두 차례 더 열기로 했다.

국조특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고 위원회 운영일정 변경 안건을 여야 합의로 의결했다. 특위는 21일 국방부와 군 관련 인사들을 대상으로, 25일 대통령실과 국무총리실을 포함한 행정부 관계자를 중심으로 청문회를 연다.

이날 여야는 추가 청문회 일정과 증인·참고인 추가 채택 안건을 논의하면서 김현태 특전사 707특임단장을 놓고 거친 공방을 벌였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의 회유 의혹을 주장했고, 민주당은 계엄 직후와 증언이 달라진 것이 없다며 맞섰다.

국조특위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등 136명을 증인으로, 봉지욱 뉴스타파 기자와 노영희 변호사 등 2명을 참고인으로 채택했다.

야당이 비상계엄 선포의 직접적인 계기라고 주장하는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도 증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 김현태 특전사 707특임단장(대령)은 증인 명단에서 제외됐다.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염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안규백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이상섭 기자


앞서 증인 채택 과정에서 여당은 야당이 ‘회유 의혹’을 회피한다고 지적했다.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은 “회유와 위증교사는 개별 차원에서 이뤄진 게 아니라 민주당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이뤄졌을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말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도 “여야가 동시에 신청했던 증인인데 갑자기 빠진 것”이라며 “김 단장 증인 신청은 꼭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날 대정부질문에서 의혹을 처음으로 제기한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은 김 대령이 의혹을 받아 증인 명단에서 제외됐다고 주장했다. 성 의원은 “면담에 배석했던 김 단장은 박범계 (민주당) 의원이 곽 전 사령관을 향해 ‘이미 대세는 기울었다’ ‘민주당에서 챙겨주겠다’고 말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자 야당에서 반발이 터져나왔다. 부승찬 민주당 의원은 “김 단장이 12월 6일 눈물을 흘리면서 발언했던 내용과 지난 10일 청문회에서 발언한 내용에서 다른 점이 무엇이냐”며 “회유를 했으면 무언가 바뀌는 게 있어야 되지 않느냐”고 반박했다. 이어 임 의원을 향해 “배지 뗄 자신이 있느냐”고 언성을 높이기도 했다.

야당 간사를 맡고 있는 한병도 의원도 “처음부터 (증인 목록에서) 김 단장만 뺀 것처럼 됐는데 그렇지 않다”며 “국조특위 청문회가 내란 실체를 밝히는 게 아니라 정치적으로 난잡해질 개연성이 있다는 판단에 뺀 것이다. 위증교사 의혹은 수사기관에서 판단하면 될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박범계 민주당 의원도 “곽 전 사령관과 김 단장은 헌법재판소에서 저로부터 회유받은 바 없다고 증언했다”며 “새빨간 거짓말을 면책특권 보장을 방패 삼아 하고 있는 성 의원에 대해 분노보다는 일말의 연민을 느낀다”고 비판했다.

여당 의원들은 공방 끝에 청문회를 퇴장했고, 국조특위는 야당 주도로 증인 목록을 채택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