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친환경 학교급식 신뢰도 쑥쑥

- 참여학교 급증, 만족도 98% 기록…402개 학교로 확대 시행, 식재료 공동구매사업 품질·안전성 강화

대전시 친환경 학교급식 신뢰도.


대전시가 추진하는 친환경 학교급식 식재료 공동구매 사업이 엄격한 품질관리와 유통 체계 개선, 지속적인 안전성 확보를 통해 해마다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학생들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급식 제공을 위해 역점을 두고 있는 이 사업은 지난 2021년 시범 사업 당시 관내 초·중·고교 314개교 중 21개교(곡류)만이 참여하며 낮은 참여율을 보였다.

그러나 ▷2022년 74개교(곡류 42개교, 축산물 32개교), ▷2023년 206개교(곡류 90개교, 축산물 116개교), ▷2024년 327개교(곡류 140개교, 축산물 187개교)로 참여가 꾸준히 증가하며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이에 시는 올해 곡류 176개 교, 축산물 226개 교 등 총 402개 교로 친환경 학교급식 식재료 공동구매 사업을 대폭 확대했다.

이와 함께 공동구매 사업에 참여한 우수 공급업체 85개소(곡류 20개소, 축산물 65개소)를 선정하여, 품목별 품질기준도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곡류의 경우 쌀·찹쌀·현미찹쌀 품질 무농약 이상, 쇠고기는 한우 2등급 이상, 돼지·닭·오리는 무항생제 품질을 학교급식에 공급한다.

그간 이장우 대전시장은 학교급식에 대해 “친환경·우수 식재료 급식 개선(쌀 100%,농산물 50%)”과 육가공업체에 대해“위생 관리 부적절 및 유령업체 근절, 우수 공급업체 확대 방안”을 지속적으로 당부해 왔다.

이에 따라 관련 부서와 협업 체계를 구축해 강도 높은 안전성 검사와 위생 점검을 계속해서 실시하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학교급식 식재료 중 다소비 식품인 김치류, 곡류, 육류, 수산물 및 GMO(유전자변형 농수산물) 관련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총 867건의 안전성 검사를 시행했으며,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

또한 제품별로 시료를 월 1회 이상 수거하여 검사하며 관련 법령을 위반해 유령업체, 제조연월일 허위표시 등의 불법 행위를 저지른 15개 공급업체에 대해서는 영업정지 및 공동 구매업체 선정 해지 등의 강력한 조치를 취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지난해 공동구매 사업에 참여한 학교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에서 98%가 만족한다고 응답하며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이장우 시장은“미래 세대인 성장기 학생들에게 질 좋은 식재료가 공급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속적인 식재료 안전성 검사와 위생 점검을 더욱 강화해 학생과 학부모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급식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