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재료 가격·환율 고공행진 영향
물가기여도 큰 빵·커피 출고가 ↑
정부, 업계에 ‘물가안정 동참’ 요청
![]() |
통계청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가공식품 물가지수가 122.03(2020년=100)으로 작년 동월보다 2.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찾은 한 시민이 맛김을 살펴보고 있다. 임세준 기자 |
![]() |
식품업체들이 가격을 줄줄이 인상하면서 가공식품 물가가 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원재료 가격 인상과 환율 고공행진에 물가 상승 압력이 더 커지고 있다. 정부는 식품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물가안정 정책 기조에 동참해달라고 요청하는 한편, 주요 식품 원료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1월 가공식품 물가지수는 122.03 (2020년=100)으로 작년 동월보다 2.7%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로,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2.2%)을 상회했다.
가공식품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까지만 해도 2.0% 이하로 비교적 안정세를 보였으나 부쩍 높아졌다.
지난달 가공식품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오른 품목은 오징어채(22.9%)였다. 맛김(22.1%), 김치(17.5%), 시리얼(14.7%), 유산균(13.0%), 초콜릿(11.2%) 순으로 뒤를 이었다.
요리할 때 쓰는 조미료와 유지류인 참기름(8.9%), 간장(8.8%), 식용유(7.8%) 등은 7∼8%대 상승률을 보였다. 밀가루를 원료로 하는 가공식품도 일제히 가격이 올랐다. 비스킷(7.0%), 케이크(3.3%), 빵(3.2%) 등이 대표적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물가 기여도가 큰 빵, 커피, 김치, 비스킷 등의 출고가 인상 영향으로 전체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식품업체들은 올해들어 제품 가격을 대대적으로 올리고 있다. 동아오츠카는 지난달 1일 포카리스웨트, 데미소다 등 주요 제품 가격을 100원 올렸고 대상은 지난달 16일부터 마요네즈와 후추, 드레싱 등 소스류 가격을 평균 19.1% 인상했다.
SPC 파리바게뜨는 지난 10일부터 빵 96종과 케이크 25종 가격을 평균 5.9% 인상한다고 밝혔다. 롯데웰푸드는 오는 17일부터 초코 빼빼로를 200원 올리는 등 26종 가격을 평균 9.5% 인상한다.
식품업계는 원재료 가격 상승과 물류비 부담 증가 등으로 인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맛김 원재료인 김 원초 가격은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고 김치에 쓰이는 배추 가격도 작황 부진으로 치솟았다. 기후변화로 인해 초콜릿 원료인 코코아, 커피 원두의 국제 가격도 급등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도 앞으로 가공식품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부분 식재료를 수입에 의존하는 식품업체로서는 원가 압박이 커지는 셈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원/달러 환율 상승이 1월 가공식품 물가에도 일부 영향을 미쳤으나 앞으로 시차를 두고 더 반영될 것”이라고 했다.
배문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