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하방 압력 증가”…정부 그린북, 두 달째 잿빛 경기진단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회복 지연’ 추가

고용상황도 우려 “취약부문 중심 애로”

“민생·경제 대응플랜 가용수단 총동원”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정부가 두 달째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진단을 내놨다. 지난달 ‘고용 둔화’ 문구를 삽입한 정부는 이번 달에는 ‘소비·건설투자 부진’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매달 부정 요인을 추가하면서 경계심을 나타내는 모습이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 명동거리의 모습 [연합]

전달 경기 진단과 비교하면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 지연’ 진단을 추가하면서 더딘 회복세를 보이는 내수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고용 역시 지난달에는 ‘둔화’에서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 지속’으로 표현을 추가했다.

경기 전망에 대해 지난해 12월 ‘하방 위험 증가 우려가 있다’고 평가했던 것에서 지난달과 이달 ‘하방 압력 증가’로 표현해 부정적 경기 전망에 더 힘을 실었다.

정부는 세계 경제와 관련해서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국 관세부과 현실화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달까지 등장했던 ‘전반적 회복세’라는 문구는 빠지고, ‘주요국 관세부과 현실화’가 주요 리스크로 언급됐다.

이달 정부의 진단에는 이날 발표된 고용동향이 일부 반영됐다. 지난달 취업자는 한 달 만에 다시 증가했지만 건설업(-16만9000명)에서 집계 이래 최대 규모로 줄었다. 양질의 일자리로 평가되는 제조업 일자리(5만6000명)도 감소세를 보였다. 청년층 취업자는 21만8000명 줄며 2021년 1월(-31만4000명) 이후 최대폭 감소했다.

상승 흐름을 탄 국제유가와 원/달러환율은 물가도 끌어올리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년 전보다 2.2% 상승, 지난해 7월(2.6%) 이후 반년 만에 가장 높았다. 유가 상승과 고환율 기조는 시차를 두고 가공식품 물가에도 반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소비와 건설투자 등 내수 부문은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12월 소매판매는 내구재(-4.1%), 준내구재(-0.6%) 판매가 감소하면서 전월보다 0.6% 감소했다. 1년 전보다는 3.3% 감소다. 당초 정부는 연말 소매판매가 늘어나면서 내수 회복을 기대했으나, 비상계엄 여파 등으로 연말 소비 심리마저 크게 위축됐다. 정부는 1월 소매판매의 경우 백화점·대형마트 매출 증가는 긍정 요인, 카드 승인액 증가율 둔화와 소비자 심리 약세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12월 건설투자를 나타내는 건설기성(불변)은 11월보다는 1.3%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대비로는 8.3% 감소했다. 낮은 아파트 분양물량 등은 중장기 건설투자에 부정 요인이나, 건축허가 면적 증가는 긍정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지난달 수출은 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대비 10.3% 감소했다. 이로써 15개월 연속 플러스 기록도 멈췄다.

정부는 이달 그린북에서도 계엄이나 탄핵정국 등의 단어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진 않았다. 다만 대내외 불확실성에는 정치적 불확실성도 포함된다는 게 기재부의 설명이다. 기재부 측은 “올해 1분기 민생·경제 대응플랜을 통해 가용수단을 총동원해 일자리·서민금융·소상공인 등 분야별 민생·경제 개선 조치를 신속히 마련·추진하겠다”면서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첨단전략산업기금 설치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