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롯데손해보험 제공] |
[헤럴드경제=박성준 기자] 롯데손해보험이 지난해 당기순이익으로 272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1% 감소했다. 금융당국의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 등이 반영된 결과다.
영업이익은 337억원으로 같은 기간 91.5% 감소했다. 롯데손보는 지난해 3분기까지 누계 영업이익이 1078억원, 당기순이익 844억원을 기록했으나 4분기 금융당국의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을 반영하며 순이익이 급감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보험사들이 무·저해지 상품 해지가 많을 것으로 가정해서 보험계약마진(CSM)을 부풀렸다고 보고 지난해 11월 가이드라인을 내놨다. 해지율 산출 시 이번 연말 결산부터 완납 시점 해지율이 0%에 수렴하는 로그-선형 모형을 원칙모형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이로 인한 일시적 순익 감소 효과는 약 1000억원 규모로 예상된다.
해지율 가정 변경으로 롯데손보의 지난해 말 보험계약마진(CSM)은 2조3202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3.2% 감소했다. 다만 연간 신계약 CSM은 4800억원으로 성장성을 재확인했다. 가이드라인이 적용되기 전 CSM은 약 2조 5000억원 수준이다. 지난해 투자영업실적은 구조화채권 등 금리부 자산의 일시적 평가손실 등이 반영돼 1466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롯데손해보험 관계자는 “제도 강화에 따른 일회성·일시적 요인을 반영하면서 이익과 CSM이 일시적으로 감소했지만, 흑자경영을 유지했다”면서 “앞으로도 보험업 본연의 경쟁력을 높이는 성장전략을 굳건하게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