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경제단체와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위해 머리 맞대

‘저출생 대응을 위한 경제단체 민관협의체’ 제6차 회의 열려


[123RF]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14일 서울 마포구 경총회관에서 ‘제6차 경제단체 민관협의체(협의체) 회의’를 개최하고 저출생 및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민관의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한국경영자총협회·대한상공회의소·중소기업중앙회 등 6개 경제단체와 은행연합회가 참석했다.

협의체는 경제·금융계가 함께 한 저출생 극복 추진본부 출범을 비롯해 각 경제단체에서 활발히 시행한 저출생 극복 활동 추진성과와 추진계획을 공유했다.

각 경제단체는 지난해 기업의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을 목표로 ▷중소기업 일·가정 양립위원회 발족 ▷저출생 극복 산업계 릴레이 챌린지 ▷일·가정 양립 우수 사례집 배포 ▷지역소멸 대응 포럼 개최 등 저출생 대응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추진했다.

올해에도 각 경제단체는 저출생 극복 노력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무역협회는 가족친화 인증기업 및 일·생활균형 우수기업을 대상으로 무역진흥자금 융자지원 선정 시 가점을 부여하고, 은행연합회는 각 금융업권별로 저출생 대응 금융상품을 확대할 방침이다.

위원회는 올해 1월부터 시행중인 육아휴직 급여인상 등 육아지원제도 개편내용을 소개하고, 출산·육아기 대체인력지원 업무분담지원금 지원확대 등 기업 지원방안을 안내했다.

또 임신과 출산을 지원하고 일·가정양립을 활성화하기 위해 23일부터 시행되는 육아지원 3법의 개정내용을 공유하며 경제계가 앞장서서 기업의 제도활용 촉진에 힘써줄 것을 요청했다.

회의에 참여한 여성가족부는 중소기업 대상 예비인증제도 도입, 선도기업(가칭), 법령위반 등에 대한 사후관리 강화, 맞춤형 컨설팅 및 홍보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가족친화인증제도의 개선방안을 발표하고 민간단체의 의견을 수렴했다.

회의에서는 초고령화의 심각성에 대한 문제 인식을 같이하고, 고령친화산업 분야 진출확대방안, 고령운전자 안전운전 지원강화, 고령친화주택 건설 등 관련 산업의 향후 방향과 기업체의 역할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특히 AI, IoT, 바이오, 로봇 등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Age-Tech(에이지 테크) 산업이 급성장함에 따라 제조업·IT 등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국내 기업들이 해당 분야에 진출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했다.

저고위는 “정부와 경제단체가 함께하는 협의체가 올해도 저출생 극복과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해 돈독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계속 공동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