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김구 중국 국적’ 발언에 유감 표명
![]() |
홍준표 대구시장이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시작일인 14일 대구 남구 봉덕2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홍준표 대구시장은 15일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백범 김구 선생의 중국 국적설’ 언급에 대해 망발로 규정하고 유감을 표명했다.
홍 시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일제강점기 시절 우리 국민의 국적 문제에 대해 언급하면서 “최근 김구 선생의 국적을 중국이라고 기상천외한 답변을 하는 것도 어이가 없는 일”이라며 “독립운동의 영웅 김구 선생의 국적이 중국이었다는 망발도 참으로 유감”이라고 밝혔다.
이름을 직접 거명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김 장관을 저격한 셈이다.
김 장관은 전날 국회 대정부질문에 참석해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일제강점기 김구 선생의 국적이 무엇이냐고 질문하자 “여러 주장이 있지만 중국 국적을 가졌다는 이야기가 있고 학자들의 연구도 있다”면서 “일제 식민지 때는 선조들이 일본 국적을 강제 당했고, 취득한 건 아니다”고 답변했다.
그는 작년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선 일제강점기 시절 선조들의 국적은 일본이라는 취지로 말해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홍 시장은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국민의 국적을 일본이라고 하는 것은 을사늑약과 한일합방을 합법적으로 인정하는 일제의 식민사관”이라며 “그렇게 보면 일제하의 독립운동은 내란이 되고 강제로 한 혼인도 유효하다고 보는 것과 다름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을사늑약과 한일합방은 강제로 맺어진 무효인 조약이다. 국제법이나 국내법이 인정하는 무효인 조약”이라며 “그래서 일제하의 우리 국민의 국적을 일본이라고 하는 것은 망발이라고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나라를 구성하는 3대 요소는 영토, 주권, 국민”이라며 “일제시대 국민은 있었으나 영토는 빼앗기고 주권도 빼앗겼다. 삼일만세운동 이후 설립된 상해 임시정부시절부터 국적이 대한민국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국가의 3대 요소 중 국민만 있는 시대였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홍 시장은 그러면서 “그래서 당시 우리 국민들은 국내에서나 해외에서 모두 무국적 상태로 산 것이라고 본다”면서 “해방 이후 나라를 되찾은 뒤 비로소 국적이 회복된 것”이라고 밝혔다.
홍 시장은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오세훈 서울시장과 함께 여권 내 2위 그룹을 형성한 가운데 선두로 나선 김 장관을 쫓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