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 중국 국적’ 김문수 발언 논란…견제구 던진 홍준표 [이런정치]

‘일제시대 선조들 日국적’ 논란 재발
洪 “일제 식민사관…기상천외·망발”
보수 1위 달리는 金 “대권 생각 없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답변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진 기자] 보수 진영 대권주자로 주목받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또다시 설화에 휩싸였다. 국회 본회의장에서 “김구 선생의 국적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중국 국적을 가졌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공개 발언하면서다.

김 장관은 1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진행된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일제시대 김구 선생 국적이 뭡니까”라는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국사학자들이 다 연구해 놓은 게 있다”며 이같이 답해 논란의 불씨를 댕겼다. 지난해 8월 인사청문회에서 ‘일제시대 선조들의 국적은 일본’이란 취지의 답변으로 비판받은 것의 연장선이다.

최 의원은 대정부질문에서도 “일제시대 우리 선조들 국적은 뭡니까”라고 물었고, 김 장관은 “제가 이미 국회에서 여러 번 답변을 드렸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최 의원은 이에 “비겁하다 생각한다”, “공부 더 하고 오시라”고 쏘아붙였다.

김 장관의 발언에 발끈한 인물 중에는 보수 진영의 또 다른 ‘잠룡’ 홍준표 대구시장도 있었다. 홍 시장은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국민의 국적을 일본이라고 하는 것은 을사늑약과 한일합방을 합법적으로 인정하는 일제의 식민사관”이라며 “그렇게 보게 되면 일제하의 독립운동은 내란이 되고, 강제로 한 혼인도 유효하다고 보는 것과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홍 시장은 “김구 선생의 국적을 중국이라고 기상천외한 답변을 하는 것도 어이가 없는 일”이라며 “망발”, “참으로 유감”이라고 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시작일인 14일 대구 남구 봉덕2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은 뒤 조재구 남구청장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


홍 시장의 비판은 사실상 보수 1위 주자에 대한 ‘견제구’란 해석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전국 유권자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 김 장관은 12%를 얻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34%)에 이은 2위를 기록했다.

이 대표와 격차는 상당하지만, 보수 주자 중 유일한 두 자릿수인 데다 자체 기록을 경신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대구시장, 오세훈 서울시장 각각 5%,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1%에 그쳤다.

홍 시장의 견제구를 놓고 “생각보다 이르다”란 반응도 나온다. 김 장관의 지지율 기반이 강성 보수 지지층인 만큼, 이를 흡수하기 위해서라도 보수 주자들이 김 장관에 대한 공격을 자제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실제 김 장관에 대한 지지는 국민의힘 지지층과 보수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 한국갤럽이 같은 기간 실시한 ‘대통령감 인식 조사’에 따르면 김 장관은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보수 주자 중 가장 높은 ‘적극 지지(28%)·지지 의향 있음(36%)’ 응답을 받았다. 보수층에서도 마찬가지로 ‘적극 지지(24%)·지지 의향 있음(31%)’로 가장 높았다.

정작 김 장관은 대선 출마와 관련해서는 선을 긋고 있다. 김 장관은 최민희 의원이 “대권 나가십니까”라고 물었을 때도 “지금 전혀 그런 생각은 없다”고 답했다. 그는 지난 4일 국회에서도 취재진에게 “(조기대선 출마를) 전혀 검토하거나 생각한 건 없다”고 한 바 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이 진행 중인 만큼 조기대선 관련 발언을 자제하는 여권 주류의 분위기와 같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 교육·사회·문화 분야 현안 관련 대정부질문에서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


한편 대정부질문 자리에서는 정부 정책과 무관한 김 장관의 일생을 조명하는 질문이 나와 ‘김문수 띄우기’란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은 김 장관에게 “제가 알기로는 장관님은 독립운동가 후손으로 알고 있는데 친일파라는 비난이 있다”, “위장취업, 수배, 학적 재적, 투옥, 회고 등 노동운동가 김문수를 상징하는 키워드”라고 말했다. 또 “전태일 열사 어머니이신 우리 이소선 여사님께서도 문수는 내 아들이라고 하셨다던데 어떤 사연이 있느냐”고 물었다.

임 의원의 질문에 야당 의원들 사이에서는 항의와 실소가 동시에 나왔다. 김 장관이 답변을 마치고 자리에 들어선 뒤에도 항의가 이어지자, 임 의원은 “민주당 의원님들이 김문수 장관님한테 굉장히 민감하신 거 보니까, 장관님께 쫄리는 게 많은가”라고 말하기도 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