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 “1기 때도 금리인하 압박, 외환시장 변동성 유의해야”
[헤럴드경제=권남근 기자] 한국금융연구원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러 달러 약세를 유도하는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트럼프 정부 1기 때의 흐름과도 유사하다.
![]()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1기 때처럼 달러 약세를 유도하는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망고보드] |
한국금융연구원은 16일 공개한 ‘트럼프 1기 행정부 환율 정책의 회고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국금융연구원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미국 관세 부과 조치에 중국이 대응하는 과정에서 위안화 가치가 급락했고, 이에 따라 2019년께 중국 환율 조작 의혹뿐 아니라 달러화 약세 유도 정책 관련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같은 맥락에서 2019년 6월부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를 인하하도록 공개적으로 압박했다.
미국 외환안정기금(ESF)이 보유한 달러화 자산을 매각하는 대신 다른 통화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달러화 가치를 떨어뜨리는 방안도 거론됐지만, 외환시장 개입의 경제적 영향이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와 상충할 가능성 등이 제기됐다.
당시 민주당과 공화당 일각에서는 국채 등 미국 자산에 투자하는 외국인 자금에 ‘시장 접근 수수료’를 부과해 달러화 수요를 줄이는 방안까지 나왔다.
금융연은 보고서에서 “지금도 공화당뿐 아니라 민주당 진영에서도 달러화 가치가 고평가됐다는 문제의식이 광범위하게 존재한다”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인위적 약달러 유도 정책은 예상보다 강력한 추진력을 확보할 개연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관세 부과, 이민자 노동 공급 축소, 재정 확장 등 주요 정책의 영향으로 달러화가 강세인 가운데, 인위적 약달러 유도 정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불확실성은 외환시장 변동성이 현저하게 커지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