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첫 외교장관회담 “북한 완전한 비핵화 목표 견지…대북정책 수립 과정서 공조”

러북간 군사협력 관련 우려 공유

조태열 장관, 대미 투자 성과 설명

‘조선·원자력·에너지’ 협력 공감대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15일(현지시간) 뮌헨안보회의(MSC)가 열리는 독일 뮌헨의 바이어리셔호프 호텔에서 40분간 회담을 갖고 한미동맹과 북핵 문제, 경제 협력 등 현안을 두루 논의했다. [외교부 제공]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한국과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만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견지하면서 향후 대북정책 수립·이행 과정에서 긴밀히 공조해 나가기로 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5일(현지시간) 뮌헨안보회의(MSC) 참석 계기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독일 뮌헨의 바이어리셔호프 호텔에서 40분간 회담을 갖고 한미동맹·북핵문제·한미일 협력·한미 경제협력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이자리에서 “한국이 안전하고, 강력하며, 번영하는 동맹을 만들어 가기 위한 최적의 파트너”라며 “미 신 행정부 하에서도 대북 공조, 확장억제, 한미일 협력은 물론 투자와 경제 협력 등을 더욱 확대·강화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루비오 장관은 이에 동의하고 “미국으로서는 같은 자유 민주주의 국가로서 한국과의 관계를 중시하고 있으며, 각국 국내 상황과 무관하게 신뢰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나가고자 한다”고 화답했다.

양 장관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재확인하고 러북간 군사협력 관련 우려를 공유하고, 계속 예의주시하며 공조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조 장관은 미래 번영을 위해 그간 한국이 주도해 온 대미 투자 성과를 설명하는 등 경제 외교에도 적극 나섰다. 조 장관은 이와 같은 노력이 유지·확대되기 위한 긍정적 환경 유지와 미측의 협력을 당부했다.

양 장관은 특히 ▷조선 ▷원자력·LNG(액화천연가스) 등 에너지 ▷첨단기술 등이 앞으로 한미간 전략적 협력과제라는 데 공감하고, 이를 확대하기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조 장관은 끝으로 관세 문제와 관련해 한미간 긴밀한 협의에 의한 해결 의지를 밝혔다. 조 장관이 “상호 이익이 되는 해법을 모색하자”고 당부하자, 루비오 장관은 “관계부처간 협의해 나가자”고 답했다.

회담에서 한미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문제는 제기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담은 한미 외교수장의 첫 대면회담으로, 12·3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탄핵정국 여파로 외교공백이 발생한 가운데 미국 새 정부의 외교·안보·무역 등 대외정책 구상을 듣고 우리의 입장을 설명하는 자리가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달 12일부터 철·알루미늄 등에 대한 관세를 25%로 적용하기로 결정하는 등 ‘관세 전쟁’이 현실화하면서 이번 회담의 중요성이 더 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관세 문제는) 미측도 현재 시작하고 검토하는 단계”라며 “(한미간) 계속 협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담에서는 아직 통화가 이뤄지지 못한 한미 정상급 통화와 관련해 루비오 장관 측에 협조를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양 장관이 뮌헨안보회의 참석 계기에 만나면서 다양한 현안에 대해 깊이 있는 협의를 하기엔 시간이 다소 부족했을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회담 분위기에 대해 “(미측이 한국 입장을) 경청하면서 잘 받아적고 했다”고 전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