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기업 투자심리 위축…내수 부진·경제 전망 불확실

[헤럴드경제(대구)=김병진 기자]최근 대구지역 기업들은 내수 시장 부진과 대외 경제 불확실 등으로 인해 투자 심리가 상당히 위축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최근 대구상공회의소가 지역 기업 212개사를 대상으로 투자 동향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투자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조사 대상 기업의 27.4%에 그쳤다.

투자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이 절반을 넘는 52.3%였고 미정이라고 답한 기업은 20.3%로 나타났다.

올해 투자를 계획하지 않는 이유(복수응답)에 대해서는 ‘내수시장 부진’이 55%였고 다음은 ‘국내외 경제전망 불확실’이 52.3%로 뒤를 이었다.

투자 계획이 미정인 기업들은 74.4%가 ‘경기 및 시장 상황을 보고 결정’하겠다고 응답했다.

또 투자 계획이 있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은 업종은 제조업으로 32%였고 건설업은 8.1%만 투자 계획을 가지고 있어 침체된 지역 건설 경기를 여실히 보여줬다.

제조업 내에서는 ‘자동차부품’이 42.9%, ‘금속가공’ 41.2%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투자 규모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46.6%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투자 시기로는 ‘상반기’라고 답한 기업이 75.8% 2/4분기는 55.1%, 1/4분기 20.7%, 3/4분기 19%의 순이었고 투자 분야는 ‘생산설비 교체 및 확충’이 56.9%로 가장 많았다.

투자 결정 과정에서는 ‘업계 경쟁상황과 시장 성장 가능성’을 본다는 응답이 60.4%로 가장 우선시 했고 자금 조달 수단으로는 ‘금융권 대출’이라고 답한 비율이 61.8%였다.

투자 애로 요인에는 ‘시장 불확실성 및 수요 감소’가 71.2%로 가장 많은 가운데 ‘자금 조달 애로’도 48.1%로 절반에 가까웠다.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정책에 대해서는 ‘금융권 대출 금리 인하’가 59.9%, ‘보조금 및 보증 확대’ 52.4%, ‘투자 세제 혜택’ 49.1% 등 정책 금융지원 필요성이 그 뒤를 이었다.

대구상의 이상길 상근부회장은 “지역 기업들이 하루 빨리 투자 심리를 회복해 적극적으로 투자 활동에 나설 수 있도록 정부는 전방위적인 경기 활성화 정책 추진과 함께 다각적인 금융지원 등을 통해 기업 친화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