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칠성음료, 친환경 패키지 혁신…“환경 경영 확대”

환경부와 협업, 초경량 페트병 아이시스 출시
플라스틱 감축 연간 182톤…생수 5억개 분량


[롯데칠성음료 제공]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롯데칠성음료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기초한 지속가능성 역량을 기업의 핵심 전략으로 삼고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꾸준한 패키지 혁신을 통해 선도적으로 환경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국내 최초로 질소 충전 기술을 적용한 생수 ‘초경량 아이시스’를 선보였다. 기존 11.6g이었던 500㎖ 페트병 중량은 9.4g으로 18.9% 줄였다. 1997년 아이시스 출시 당시 용기 무게(22g)와 비교하면 57% 가벼워졌다. 롯데칠성음료는 이를 통해 연간 127톤의 플라스틱을 감축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해당 패키지는 롯데칠성음료가 환경부에 제안해 탄생했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과 6개월간 보관방법별 수질변화를 살피며 안정성을 검토했다. 질소압에 의한 용기 변형을 방지하는 패키지 형태다. 롯데칠성음료는 올해 ‘아이시스 8.0’ 제품까지 질소 충전 기술을 적용한다.

앞서 2020년 1월에는 생수 브랜드 최초로 페트병 몸체에 라벨을 없앤 무라벨 제품 ‘아이시스8.0 ECO’를 선보였다. 이를 통한 연간 플라스틱 사용 절감량은 182톤에 달했다. 유라벨 생수 500㎖ 페트병 라벨의 무게가 0.37g인 점을 고려하면 약 5억개 분량의 라벨을 감축한 셈이다.

무라벨 제품은 생수 판매량의 절반 이상(2024년 기준 약 59%)을 차지하면서 대세로 자리 잡았다. 탄산·커피 제품군을 포함한 무라벨 제품 비중은 30% 수준으로 증가했다.

2021년 6월에는 국내 업계 최초로 플라스틱 부산물을 활용한 rPET(재생 페트)의 기술 및 품질 검증을 전개했다. 페트병으로 다시 페트병을 만드는 ‘보틀 투 보틀(Bottle to Bottle)’을 위해 ‘아이시스8.0 ECO 1.5ℓ’ 제품에 재생원료 10%를 넣어 생산하고 있다.

이는 롯데칠성음료가 수립한 ‘2030 플라스틱 감축 로드맵’에 따른 것이다. 2030년까지 신재 플라스틱 사용량을 2023년 대비 20%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재생원료 비중을 30%로 높이기 위해 ‘아이시스 ECO’ 외부 포장에 적용된 재생원료 20%를 섞은 PE 필름을 전 제품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런 노력을 인정받아 롯데칠성음료는 지난해 ‘제18회 대한민국 패키징 대전’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제14회 그린패키징 공모전’에서는 대상인 환경부장관상을 받았다. 지난해 11월에는 국내 식품업계 최초로 SBTi(과학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로부터 단기 온실가스 감축 및 넷제로(온실가스 순배출량 제로화) 목표 승인도 받았다.

[롯데칠성음료 제공]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