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나 차가웠을까…선박 사고 작년 사망·실종자 10년 내 최다 [세상&]

행안부, ‘어선 안전관리 강화’ 긴급대책 회의
지난해 119명 사망, 실종
올해 어선 사고는 5건… 총 29명 사망·실종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17일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어선 사고 예방을 위한 관계기관 긴급대책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이용경 기자] 최근 우리나라 해역에서 잇따른 어선 사고로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작년에만 119명이 어선 사고로 사망하거나 실종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관계 기관이 특단의 대책 마련에 나섰다.

18일 행정안전부의 ‘최근 10년간 어선 사고 인명피해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어선 사고로 인한 사망·실종 등 인명피해는 11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33명의 사망·실종자를 기록한 2014년 이후 10년 만에 최대치다.

특히 올해도 3명 이상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어선 사고는 총 5건으로, 사망하거나 실종된 사람은 총 29명에 달했다.

앞서 지난 9일에는 전남 여수시 거문도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트롤 선박 침몰 사고로 승선원 14명 중 5명이 숨지고, 5명이 실종됐다. 생존한 4명은 2시간여 동안 구명뗏목에서 버티다 해경에 구조됐다.

지난 12일에도 제주 서귀포 해역에서 발생한 어선 전복 사고로 한국인 선장을 포함한 승선원 10명 중 5명이 구조됐으나, 이 중 2명이 숨진 채 발견됐다. 해경은 여전히 나머지 선원 3명을 찾기 위해 수색 중이다.

지난 13일에도 전북 부안 해역에서 발생한 선박 화재 사고로 한국인과 외국인 선원 총 12명 중 5명이 구조되고, 7명이 실종됐다. 실종자 가운데 2명은 전날 인근 해상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이에 행안부는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긴급대책 회의를 열고 어선 사고 예방을 위한 기관별 안전관리 강화 대책을 논의했다.

해양수산부는 ▷기상악화 시 출입항 규정 준수 및 출어선 안전 해역 대피 ▷위치 발신 장치와 구명조끼 지도·감독 및 단속 ▷어업인에게 유선·문자·무선 등으로 기상 상황 신속 전파·계도 ▷어선 불법증·개축 점검 및 어선 검사 강화 ▷어선 안전 특별 점검 등 관계기관 대비 태세를 확립하고, 어업인 대상 안전 지도·점검을 강화한다.

해양경찰청은 지난 13일부터 다음 달 15일까지 ‘해양 안전 특별경계 강화 기간’으로 정하고, 해양 함정 전진 배치, 24시간 비상 출동 태세 유지를 비롯한 긴급구조 대비·대응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지자체에서는 어선 내 안전설비 구비 상태를 특별점검하고, 어업인들이 구명조끼 착용이나 무선설비 상시 작동과 같은 필수 안전 수칙을 준수하도록 계도를 강화한다.

행안부도 풍랑특보 발효 시 지켜야 할 안전관리 강화 조치(조업 중 구명조끼 착용 등)를 연안 지자체에 통보하고, 어업인들에게 필수 안전 수칙을 재난 문자(CBS)와 재난방송(DITS)을 통해 지속해 안내할 방침이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