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현역 57명 찾은 김문수·나경원 토론회…“정년연장·임금체계 개편과 연동돼야”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30·장년 모두 Win-Win하는 노동개혁 대토론회’에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나경원 의원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국회 노동개혁 토론회 참석해 기조발언
“임금체계 개편없는 정년연장 기업 부담”


[헤럴드경제=주소현·김해솔 기자]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9일 국회를 찾아 “일률적 정년 연장은 청년취업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며 “정년연장 논의는 임금체계 개편과 반드시 연동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나경원·우재준 의원과 국회 연구모임 ‘인구와 기후 그리고 내일’ 등의 주최로 열린 ‘2030·장년 모두 윈윈(Win-Win)하는 노동개혁 대토론회’의 기조연설자로 연단에 올랐다. 김 장관은 “연공급 임금체계와 수시 경력직 채용문화, 기성세대 중심의 노동조합 활동이 청년 일자리를 더욱 어렵게 한다”며 법정 정년연장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 장관은 “1000명 이상 대기업은 정년연장으로 청년고용이 11.6% 감소했다”며 “30년 이상 근속할 때 임금이 초임에 대비해 3배에 달하는 상황에서 임금 체계 개편 없이 정년 연장을 한다면 기업 재정 부담 가중시킬 것”이라고 했다. 또 “좋은 일자리로 가는 사다리 끊기면 청년 미래는 더 어두워진다”며 “정부는 청년들이 미래를 꿈꾸고 도전하며 노력한 만큼 보상받을 수 있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는 다수 여론조사에서 보수 잠룡 1위로 꼽히는 김 장관이 참석한다는 점에서 일찌감치 주목받았다. 김 장관은 계엄 사태 직후인 작년 12월11일 국회 현안질의에서 서영교 민주당 의원의 ‘국무위원 전원 기립 사과’ 요구를 홀로 거부한 ‘강성 반탄(탄핵 반대)’ 인사로, 직후 보수 진영에서 지지율 상승세를 보이며 대권주자로 자리잡았다.

현장에는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이양수 사무총장 등 지도부를 포함해 국민의힘 현역 의원 57명이 참석하면서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다. 예상보다 많은 의원들이 현장을 찾으면서 명패를 새로 인쇄하거나, 늦게 온 의원들을 위해 기념촬영을 여러 번 반복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형동·임이자 의원을 비롯해 포럼 소속 의원 뿐 아니라, 대통령 관저나 헌법재판소 앞을 찾았던 친윤(윤석열)계 강명구·강승규·박덕흠·서천호 의원 등 다수도 토론회를 찾았다.

이를 지난 12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국회에서 개최한 지방분권 개헌 토론회와 ‘세 대결’로 해석하는 시각도 나왔다. 오 시장은 보수 진영에서 대표적인 ‘탄핵 찬성’ 대권주자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저번에 오세훈 시장이 왔으니, 이번에는 탄핵 반대하는 분들이 여론의 주목을 제일 많이 받는 김문수 장관을 띄우려고 하는 것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나 의원도 이날 개최사에서 “너무 많은 의원들이 와줘 감사하다”며 “저는 토론 주제를 다루기 중요한 시기고, (김 장관이) 최고 전문가라 모셨는데 1등이라 오셨다는 얘기가 많다”고 해 눈길을 끌었다. 나 의원은 이날 “요새 ‘경제는 민주당’이라고 혹세무민을 한다”며 “탄핵 대응도 힘써야 하지만, 이재명에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고 해서 토론을 준비했다”고 말했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말하지 않아도 의원들도 조기대선이라고 생각하는 만큼 누가 적임자일지 분위기를 파악하러 오지 않겠느냐”며 “의원들이 여기저기 눈도장 찍으러 다니는 것”이라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