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외’ 김부겸, 인사 접점 넓혀
‘경제’ 김동연, 행정 역량 부각
![]() |
김경수(왼쪽부터) 전 경남도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동연 경기도지사 [연합] |
야권 잠룡으로 꼽히는 인사들의 보폭이 커지고 있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적통성을 내세우며 친문(친문재인)계 의원들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원외 인사들과의 접점을 넓히며 세 규합에 나섰다. 도정 인선을 통한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해 온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행정 역량을 부각하는 행보로 내실 다지기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부겸 전 총리는 오는 24일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회동한다. 두 사람의 만남에서 당내 통합 방안이 주된 논의 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김 전 총리는 이 대표 체제의 민주당을 향한 비판 수위를 더욱 높이고 있다.
특히 전날(18일) 열린 ‘희망과 대안 포럼’ 창립식에 참석해 원외 비명계 인사들과 한목소리를 내는 장면이 연출되자 김 전 총리가 이 대표에 맞서기 위한 세력화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 전 총리는 포럼 창립식에서 “다양성, 민주성, 포용성이 사라진 민주당에는 미래가 없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대표의 강성 지지층 ‘개딸(개혁의딸)’을 거론하며 “여러분이 쓰는 분열과 증오의 언어가 대한민국을 이렇게 분열과 고통으로 내몰고 있다”라고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김경수 전 지사는 ‘친노(친노무현)·친문 적자’ 타이틀을 앞세우고 있다. 김 전 지사는 대표적 친노 인사인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과 전날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표 정책인 ‘행정수도 이전’ 토론회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는 고민정·김영배·박수현 의원 등 문재인 청와대 출신을 비롯한 19명의 현역 국회의원이 함께했다. 김 전 지사는 “행정수도 이전은 노 전 대통령의 꿈이었다. 완성을 시킬 때가 된 것 아닌가”라고 강조했다. 최근 문재인 정부 당시 야당 정치인들의 입각을 추진했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민주당이 포용성을 키워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기도 했다. 김 전 지사는 자신의 SNS에 올린 글에 “단순히 장관직을 제안하는 방식이 아니라 선거 이후 정부 출범 때부터 인수위 단계에 함께 참여해 정책 협의를 통해 협약을 맺고, 그 결과에 따라 내각도 공동으로 구성하는 ‘한국형 연정’이 필요하다는 뜻”이라고 적었다.
김동연 지사는 경제 중심의 행정 역량 부각에 나섰다. 특히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전부터 경제를 바탕에 둔 대미 외교전략에 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김 지사는 전날 미국대사관저를 찾아 조셉 윤 주한 미국 대사대리를 만나 경기도와 미국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경기도는 “이번 면담이 양국이 한미동맹 강화, 경제협력이라는 공통된 가치를 확인하고 한미 협력관계를 한층 더 공고히 하는 뜻깊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김 전 총리와 김 전 지사와는 달리 현직 광역단체장이라는 강점을 가진 김 지사는 도정을 운영하며 비명계 인사들을 적극 등용하기도 했다. 친문 핵심으로 꼽히는 전해철 전 의원을 도정자문위원장에 임명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지난해 총선 공천 국면에서 민주당 내 ‘비명횡사’ 논란의 중심이 됐던 고영인 전 의원은 경제부지사를 맡고 있다. 양근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