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분기 임금근로 증가 6년만 최소…3년 연속 일자리 증가 폭 둔화

20·40대 역대 최대 감소
건설업, 2018년 이후 최대 폭 감소


ICT 기술과 인재를 연결하는 2024 부산 ICT 일자리 박람회가 열린 20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한 구직자가 채용 안내 책자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지난해 3분기 임금 일자리 증가 폭이 6년 만에 가장 작았다. 건설업을 비롯한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10∼20대와 40대 임금 일자리는 통계 집계 이후 최대 폭 감소했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작년 3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년 전보다 24만6000개 증가했다.

이는 2018년 3분기(21만3000개) 이후 3분기 기준 6년 만에 가장 적다.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를 뜻하며 취업자와는 다른 개념이다. 예컨대 주중에 회사를 다니고 주말에는 학원 강사를 한 경우 취업자는 1명이나 일자리는 2개로 집계된다.

[통계청 제공]


임금근로 일자리 증가 폭은 2022년 3분기(59만7000개), 2023년 3분기(34만6000개)에 이어 3년 연속 둔화하고 있다.

연령별로 20대 이하(-14만6000개)와 40대(-6만7000개)에서 일자리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두 연령대 모두 2017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모든 분기를 통틀어 가장 큰 감소 폭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체 인구 감소와 제조업·건설업 등 주요 산업의 고용 둔화가 겹치면서 20대 이하와 40대 일자리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일자리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연령대는 60대 이상(27만4000개)이었다. 50대(11만9000개)와 30대(6만6000개)에서도 일자리가 증가했다.

산업 대분류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13만8000개)와 협회·수리·개인(3만2000개), 운수·창고(3만1000개) 등은 일자리가 증가했다.

반면 건설업은 4만7000개 일자리가 줄었다. 2018년 3분기 11만3000개 감소한 이후 3분기 기준 가장 큰 폭이다.

전체 산업 중 일자리 비중이 가장 높은 제조업 일자리는 2만1000개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5만개)보다 증가 폭이 둔화했다.

전년 3분기와 같은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495만9000개로 전체의 72.0%를 차지했다.

퇴직·이직 등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35만4000개(16.1%), 기업체가 새로 만들어지거나 사업이 확장돼 새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247만5000개(11.9%)였다.

기업체가 없어지거나 사업이 축소돼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22만9000개로 집계됐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