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호주, ‘녹색해운항로 구축’ 협력 본격화…해사안전정책회의 개최

정책·기술공유 등 상호 공조방안 모색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한국과 호주가 항만 간 해상운송 전 과정에서 탄소배출이 없는 ‘녹색 해운항로’를 구축하기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낸다.

해양수산부는 20일 싱가포르에서 호주 해사안전청(AMSA)과 ‘제14차 대한민국-호주 해사안전정책회의’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2023년 9월 제13차 한-호주 해사안전정책회의 [해양수산부 제공]


이번 회의에서는 ▷11월 말 국제해사기구(IMO) 제34차 총회 이사국 선거 ▷녹색해운항로 구축 ▷항만국통제(PSC) 시행 ▷해양디지털 기술 ▷항로표지 정책·기술 공유 등 주요 현안에 관한 양국 간 상호 공조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특히 녹색해운항로 구축과 관련해서는 사전 타당성 조사의 세부 실행방안을 논의한다. 이는 양국이 이는 양국이 지난 10일 체결한 ‘한-호주 녹색해운항로 구축 양해각서(MOU)’에 따른 후속조치다.

앞서 해수부는 2029년 한-호주 녹색해운항로 시범운항에 나서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이를 위해 내년까지 사전타당성 조사, 경제성·기술적·제도적 타당성 연구 및 로드맵 수립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양국은 지난 2009년 9월 ‘해사안전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이후 매년 해사안전정책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제14차 회의는 당초 우리나라에서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양국이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제1회 국제항로표지기구(IALA) 총회 참석을 계기로 현지에서 회의를 열기로 합의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번 회의를 통해 국제해사분야의 오랜 동반자인 호주와의 우호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IMO 이사국 선거, 한·호주 녹색해운항로 구축 등 공동 현안에 대해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