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시민회는 지난달 21일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성명을 통해 GGM 노조의 파업 중단을 강력히 촉구했다. |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광주글로벌모터스(GGM) 노조가 광주광역시 노사민정협의회의 조정·중재 기간에 파업을 벌여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
18일 GGM과 민주노총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GGM지회(GGM 노조) 등에 따르면 노조는 이날 점심 식사 후 오후 4시간의 부분 파업과 함께 2시간의 잔업을 거부했다. 이날 파업에는 전체 조합원 228명 중 151명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자동차 캐스퍼를 위탁 생산하고 있는 GGM은 올해 국내 판매 호조와 해외 수출 물량 증가에 따라 지난해보다 7.2%(3,800대) 늘어난 5만6800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와 달리 전기차가 4만7700대(84.0%)로 대폭 증가하고, 수출도 4만2900대(75.5%)로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주야간 2교대 가동이 아닌 주간 1교대만 운영되는 GGM은 정상 근무 외에 화·목요일 각 2시간 잔업과 토요일 8시간 특별근무 등을 통해 생산 목표량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노조의 파업과 잔업 및 특근 거부가 지속될 경우 유럽 등 64개국으로 수출되는 전기차의 생산 차질이 우려된다.
GGM 노조는 지난달 10일 간부 20여명의 4시간 부분 파업을 시작으로 14일 조합원 70여명, 16일 110여명, 23일 10여명 등이 세 차례 4시간씩 부분 파업을 진행했다.
노조의 잇단 파업으로 지역사회 위기감이 커짐에 따라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가 조정·중재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노사상생발전협정서를 준수하면서 현행 노동법에 위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사자 간 화해와 협력을 위한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조정중재 기간에 GGM 노조에서 파업을 하고 잔업 및 특근을 거부하며 생산에 차질이 우려된다.
김성규 광주시민회 대표는 “대한민국 제1호 상생형 일자리인 GGM은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의 노사상생발전협정서를 기반으로 어렵게 출범한 회사이기 때문에 파업 사태는 단순히 노사 간의 문제가 아니다”며 “파업이 장기화되면 지역사회에 끼칠 부정적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에서 지역사회의 의견과 지혜를 모아서 중재조정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17일 한국산학협동연구원(키우리)과 21일 광주시민회는 잇달아 성명을 통해 GGM 노조의 파업 중단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GGM은 일자리를 찾아 광주를 떠나는 청년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만든 시민의 기업으로 5년 전 노사민정의 각 대표들이 모여 체결한 ‘노사상생발전협정서’는 광주시민의 약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