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쇼크 속 곽노정 “AI보급에 자극제… HBM 시장 더 커진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세미콘코리아’서 밝혀
“올 하반기 낸드도 좋아질 것…업계 전체 노력 중”


중국의 딥시크 같은 저가형 AI모델이 등장하면서 AI 반도체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이 오히려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최근까진 딥시크가 약 2000개밖에 되지 않는 저사양 엔비디아 AI 가속기를 사용한 만큼 가속기에 탑재되는 HBM 시장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봤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사진)은 1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호텔에서 열린 ‘세미콘코리아 2025 리더십 디너’ 행사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그는 “특정한 제품(딥시크)에 대해 언급하긴 어렵지만 저가형 AI모델의 시도가 많이 나오면 결과적으로는 AI 보급에 굉장히 큰 자극제가 될 것”이라고 했다.

또 “단기적으로는HBM수요의 변동이 예상될 수는 있지만, AI가 본격적으로 산업이나 사회에 스며들고 퍼지는 계기가 돼 HBM 쪽에 더 큰 기회가 올 것”이라고도 했다.

실제 최근 고가의 그래픽처리장치(GPU) 및 메모리 중심에서 맞춤형 AI칩과 보급형 메모리로 AI 시장이 다변화되고 있어 HBM 시장 규모도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곽 사장 역시 딥시크가 새로운 기폭제가 돼 HBM과 같은 AI 반도체 시장을 더욱 키울 것이라고 발언한 것이다.

빅테크들이 AI 관련 시설투자(캐펙스·CAPEX) 투자를 늘리는 것도 이런 전망에 힘을 보탠다. 업계에서는 주요 클라우드서비스공급자(CSP)의 AI 데이터센터 투자가 확대되면서 GPU를 비롯한 HBM 등 AI 반도체 수요는 더욱 늘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둔화하고 있는 낸드 시장에 대해서도 긍정적 전망을 했다.

곽 사장은 “낸드 공급 초과로 업계가 감산을 해왔고 올해 연말 정도쯤이면 좋아질 것으로 생각한다. 낸드 시장 안정화를 위해 업계 전체가 모두 노력하고 있으니 곧 좋아질 것”이라고 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