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러팔로가 ‘괜찮냐’ 이메일 보내”
“로제 아파트 몇위냐 했는데 갑자기 계엄령”
![]() |
20일 서울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점에서 열린 영화 ‘미키17’ 기자간담회에서 봉준호 감독이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미키17’을 연출한 봉준호(55) 감독이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우리(국민)는 이미 극복했고, 남은 건 법적 상식적 절차”라고 말했다.
봉 감독은 20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 메가박스에서 열린 신작 ‘미키17’ 기자간담회에서 계엄사태에 관해 이같이 언급했다.
봉 감독은 “처음 계엄령 뉴스가 나왔을 때 마크 러팔로(‘미키17’ 출연 배우)의 경우 이메일을 보내 ‘괜찮냐, 잘있냐. 안저하길 바란다’라고 제 안부를 챙겼다”며 “‘걱정 말라’는 답을 해줬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 |
20일 서울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점에서 열린 영화 ‘미키17’ 기자간담회에서 봉준호 감독(왼쪽부터), 배우 나오미 애키, 마크 러팔로, 스티븐 연, 최두호 프로듀서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 |
이어 “뉴스에서도 몇 차례 얘기를 했지만, 로제 양의 노래가 빌보드 차트 몇 위까지 왔냐로 떠들썩하던 와중에 갑자기 이런 일이 터져 더욱 생경했다”고 했다.
봉 감독은 “좋은 점은 우리의 음악, 영화는 지금 이렇게 거침없이 계속되고 있다는 거다. 우리는 일상을 찾았다”며 “계엄을 이미 극복한 우리들의 자랑스러운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이미 극복했고, 이제 남은 건 법적, 상식적 절차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60년대생, 80년대 학번인 봉 감독이 계엄령 사태를 공객적으로 언급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봉 감독은 지난 9일 JTBC ‘뉴스룸’에 출연해 “내가 초등학교 4, 5학년 때가 1979년, 80년이었다. 영화 ‘서울의 봄’에 나오던 그 시기. 이제 기억이 아련하지만 계엄령에 관한 기억이 있다”면서 “이제 그 후로 사십 몇 년의 세월이 지났는데 그 제 생애에서 그걸 다시 한 번 맞닥뜨릴지는 정말 상상도 못했다”고 했다.
봉 감독은 “되게 황당하면서 어이없으면서 충격적이었는데, ‘미키 17’에 같이 일했던 해외 배우들이나 같이 일했던 프로듀서나 그런 분들도 되게 당황스러웠는지 저한테 ‘괜찮냐, 도대체 어떻게 된 거냐, 무슨 일이냐’ 문자나 이메일이 많이 왔었다”고 했다.
그는 비상계엄령 책임을 물어 윤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는 영화인 긴급 성명문에도 이름을 올렸다.
한편 ‘미키17’은 봉 감독이 한국영화 최초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에 빛나는 ‘기생충(2019)’ 이후 약 6년 만에 들고 온 신작이다. 로버트 패틴슨, 나오미 아키에, 마크 러팔로, 스티브 연 등이 출연한다.
미국 작가 에드워드 애슈턴의 소설 ‘미키 7’이 원작으로 위험한 일에 투입되는 소모품 일명 ‘익스펜더블’로 죽으면 다시 프린트되는 ‘미키’가 17번의 죽음을 겪던 중, 그가 죽은 줄 알고 ‘미키 18’이 프린트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렸다.
‘미키17’은 지난 16일(한국시간) 독일 베를린 베를리날레 팔라스트에서 열린 ‘제75회 베를린 국제영화제’ 스페셜 갈라 부문에 초청됐다.
한국 개봉은 오는 28일, 북미에서는 다음 달 7일부터 관객을 만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