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금융 사외이사 70% 임기 만료…내부통제 강화에 대규모 교체되나

39명 중 27명이 임기 만료 앞둬
KB·하나·우리 의장도 교체 대상
잇따른 금융사고에 책임론 대두
당국 사외이사 역할 강화 주문에
대규모 교체 이뤄질 가능성 제기
구인난에 따른 인선 난항 목소리


5대 금융지주 사외이사의 약 70%가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사외이사의 내부통제 역할 강화를 당부하고 있어 대규모 교체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사진은 이복현(왼쪽부터) 금융감독원장과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이 지난 13일 서울 한국금융연수원에서 사외이사 양성 및 역량 강화 업무협약식 참석을 위해 이동하고 있는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김은희·유혜림 기자]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가 다음달 주주총회를 앞두고 사외이사진 재구성에 속속 돌입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최근 내부통제 강화를 주문하며 사외이사의 이사회 견제 기능을 강조하고 나선 만큼 대규모 교체가 이뤄질지 관심이 쏠린다. 우리금융 등 일부 지주는 내부통제 전문가 영입에 나선 것으로 파악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금융지주 사외이사 39명 중 69.2%인 27명이 다음달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지주별로 보면 KB금융이 7명 중 6명이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고 신한금융과 하나금융도 각각 9명 중 7명, 9명 중 5명의 임기가 만료된다. 우리금융의 경우 7명 중 5명이 임기를 채웠으며 NH금융에서는 7명 중 4명만 임기가 끝나게 된다.

이중 KB금융과 하나금융, 우리금융은 이사회 의장이 최대 임기를 채우면서 올해 교체가 예상된다.

통상 금융지주 사외이사는 첫 선임 때 임기 2년을 보장받고 이후 연임 때 1년씩 연장되는 구조로 선임된다. 최장 임기는 6년이며 KB금융만 5년으로 1년 짧다.

[헤럴드경제 DB]


그간 금융지주 사외이사의 경우 장기간 연임이 가능해 교체 폭이 크지 않았지만 꾸준히 제기되는 ‘거수기 논란’에 최근 잇따른 금융사고 발생 등으로 사외이사의 역할론이 강조되고 있어 이번에는 대규모 물갈이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게 금융권 내부의 관측이다.

실제 금융당국은 사외이사의 무더기 연임이 경영진과의 친소 관계 형성으로 이어지며 이사회 운영에 부정적인 역할을 미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최장 임기와 무관하게 활발한 교체가 이뤄져야 한다는 게 당국의 주장이다.

최근 금융감독원이 5대 금융지주를 불러 모아 사외이사 역량 강화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사외이사의 내부통제 역할 강화를 당부하고 나선 것도 같은 차원으로 풀이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당시 “이사회의 전문성 함양은 금융회사 차원의 균형감 있고 투명한 의사결정을 이루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라며 “이사회의 내부통제 역할을 강화하는 뜻깊은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금융지주는 이달 말 사외이사 후보 추천 완료를 목표로 인선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단 KB금융은 임기 만료 사외이사 6명 중 2명을 교체, 4명을 중임하기로 하고 후보 추천까지 마쳤다.

KB금융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19일 임기 2년의 신임 사외이사 후보로 차은영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와 김선엽 이정회계법인 대표이사를 추천했다고 밝혔다. 임기 1년의 중임 사외이사 후보로는 기존 조화준·여정성·최재홍·김성용 사외이사를 추천했다.

우리금융은 임기 만료를 앞둔 사외이사 5명 중 4명을 바꿀 계획인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 손태승 전 회장이 연루된 대규모 부당대출 사고로 내부통제 부실에 대한 지적을 받아온 만큼 사외이사를 대폭 교체해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취지로 읽힌다.

특히 신임 사외이사 중 최소 1명 이상을 과거 다른 곳에서 준법 감시, 윤리 경영 등의 업무를 맡은 내부통제 전문가로 발탁할 방침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내부통제 분야 명망 높은 전문가를 섭외할 예정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사외이사 구인난에 후임 인선에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인재풀 자체가 적은 데다 금융업계에만 한정된 사외이사 겸직불가 조항 등으로 명망 있는 인사를 영입하기 어렵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금감원이 2023년 말 은행지주·은행의 지배구조에 관한 모범관행을 발표했지만 은행권이 사외이사 후보군을 관리하지 않거나 일부 분야만 관리하는 등 후보군 관리에 미흡하다는 지적은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한 지주 관계자는 “실제로 상시적으로 후보군을 관리하는 곳은 몇 곳 안 될 것”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