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막길 걱정마세요” 서울시, 맞춤형 이동수단 도입

고지대 이동약자 편의시설 설치 기본계획 수립


금동초등학교 앞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경사가 심한 고지대에 거주하는 어르신 등 보행약자의 이동편의 개선을 위해 서울시가 ‘지역 맞춤형 이동 수단’을 도입한다.

서울시는 ‘고지대 이동약자 편의시설 설치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들어간다고 20일 밝혔다. 용역을 통해 시는 고지대 급경사 계단이 있는 지역을 분석해, 수직경사형 엘리베이터, 모노레일 등 지역에 적합한 이동 수단을 계획할 예정이다.

‘고지대 이동약자 편의시설 설치 사업’은 급경사 계단이 있는 지역에 맞춤형 이동 수단을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2021년 기준 교통약자(고령자장애인임산부 등)는 243만 명으로 서울시 전체 인구의 약 25%를 차지한다. 특히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고령자는 160만 명(60.8%)으로 연평균 4.1%가량 증가 추세며, 장애인 수는 39만 명(14.9%)이다.

시는 오는 5월까지 고지대 등을 중심으로 이동약자 편의시설을 우선 설치할 대상지 5곳을 선정해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할 예정이다. 내년 착공에 들어가 ‘27년 말 설치 완료를 목표로 추진되며, 총 사업비 200억 원이 투입된다. 시는 지난해 9~12월 전수조사를 통해 경사도 20도 이상, 계단 폭 2.5m 이상, 계단 길이 30m 이상 급경사 계단을 대상으로 이동 불편 민원 등이 많은 25개소를 발굴한 바 있다.

시는 별도 선정위원회를 꾸려 설치대상지 5곳을 우선 선정할 예정이다. 우선 설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더라도 이동약자 편의시설이 꼭 필요한 곳을 지속 발굴하여 단계적 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김창규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고지대는 평상시뿐만 아니라 눈비 등 계절, 날씨 등에 따라 이동에 큰 불편이 따르는 만큼 지역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이동편의시설을 도입키로 했다”며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앞으로도 이동편의 사각지대를 지속 발굴, 해소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