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 북구 금곡·충효동 일대에서 재배되는 무등산 수박은 일반 수박보다 2∼3배 크고 당도와 감칠맛이 뛰어나 예부터 임금님 진상품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광주시가 지역 특산품인 무등산 수박 지키기에 나섰다.
광주시는 23일 품질 향상과 생산장려금 지급을 골자로 한 ‘무등산 수박 육성 3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광주 북구 금곡·충효동 일대에서 재배되는 무등산 수박은 일반 수박보다 2∼3배 크고 당도와 감칠맛이 뛰어나 예부터 임금님 진상품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하지만 재배 농가의 고령화와 급격한 기후변화로 명맥이 끊길 위기에 처했다.
광주시는 지난해 전담팀(TF)을 구성해 무등산 수박 육성 대책을 마련했다.
시는 무등산 수박 재배 농가가 2000년 30농가(12㏊)에서 올해 7농가(2.5㏊)로 급감한 점을 감안해 낮은 소득을 보전하기 위해 생산장려금을 제곱미터(㎡)당 770원에서 1950원으로 확대한다.
기후 변화에 대비한 차광·차열 시설과 연작 장해 방지를 위한 토양 개량제도 지원한다.
종자는 퇴화가 진행될 수 있는 자가 채종 방식에서 벗어나 전문가 등이 우량 종자를 시험 포장해 품질 향상을 꾀한다.
무등산 수박 공동 직판장도 새단장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보다 4.5배 늘어난 4억96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남택송 광주시 농업동물정책과장은 “무등산 수박의 맛과 품질을 보존해 전국적인 명품으로 거듭나고 시민들에게 오래 사랑받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