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평화유지군 파병 본격화되나…트럼프 “푸틴, 수용할것”

미국·프랑스 정상회담서 유럽 평화유지군 공식 논의

트럼프 “문제될 거 같지 않다…푸틴도 수용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 백악관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포옹하고 있다. [EPA]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3년을 맞은 24일(현지시간) 미 백악관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가진 정상회담 직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유럽 평화유지군을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해 주목된다.

유럽이 주도하는 평화유지군이 전후 우크라이나 재건에 참여하는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크롱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 문제와 관련, 회담 모두 발언에서 “유럽은 안보 보장을 제공할 준비와 의사가 있으며 여기에는 군대가 포함될 수 있다”면서 “그들은 평화가 존중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그곳에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후 우크라이나에 유럽 주도의 평화유지군을 파병하는 문제를 공식 언급한 것이다.

그러면서 “유럽은 더 강력한 파트너가 되고 유럽의 방위와 안보에 더 많은 역할을 할 준비가 돼 있다”라면서 “우리는 유럽이 유럽의 안보와 방어를 위해 더 큰 노력을 해야 하며 안보 부담을 더 공정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회담 직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도 유럽 평화유지군을 거론하며 “나는 유럽과 비유럽 동맹국과 대화했으며, 이 노력에 참여하려는 사람들이 있다. 문제는 미국의 참여 여부와 기여 방식”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 회담 시작 때 언론과의 질의응답에서 “유럽 군대가 평화유지군으로 우크라이나에 들어가 모든 것이 적절하게 지켜지는지 지켜볼 수 있다”라면서 “내 생각에 그것은 문제가 될 것 같지 않다”고 답했다.

그는 나아가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관련 질문을 했다면서 “그는 그것을 받아들일 것이며 그는 (이와 관련) 아무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 평화유지군에 대한 미국의 지원에는 “많은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또 그는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 재건에 대한 미국의 지원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그간의 안보 지원을 언급하며 “이상한 질문”이라고 힐난했다.

유럽 주요 정상들은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종전협상에 유럽을 배제하자 긴급 회동을 갖고 우크라이나 종전을 위한 안전 장치로 미군 주둔 등 미국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은 바 있다.

이에 대해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고, 이번에 그런 입장을 재확인한 셈이다.

미국과 프랑스 두 정상은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광물 협정 체결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종 합의에 가까운 상태”라면서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협정에 서명하기 위해 이번 주나 다음 주에 방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와 관련, “우크라이나 주권에 대한 중요한 공약”이라면서 “이것은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매우 중요한 (경제적) 이익의 일치”라고 평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 백악관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서로의 손을 꽉 쥐고 있다. [로이터]

두 정상 간 회담은 대체로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진행됐으나, 이견에서 비롯된 불편한 감정이 표출되기도 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회담 전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파리에서 열린 노트르담 성당 재개관 기념식에 참석한 것에 감사를 표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마크릉 대통령이 화재 피해를 입은 대성당을 훌륭하게 복원했다며 덕담을 주고받았다.

두 사람은 취재진 앞에서 미소지으며 ‘브로맨스’를 강조하는 발언을 했으나, 이견을 드러내기까지 오래 걸리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에 두 정상 부부가 파리 에펠탑에서 식사했는데 불어 통역이 없어서 자기는 마크롱 대통령의 말에 계속 고개만 끄덕였다면서 “그는 나를 제대로 팔아먹었다. 난 다음 날 미국으로 돌아가서 신문을 보고 ‘우리가 그런 대화를 나누지 않았는데’라고 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말을 하면서 마크롱 대통령을 향해 손을 뻗쳤고 두 정상은 웃으면서 상대방의 손을 꽉 움켜쥐었다.

과거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마크롱 대통령을 만나면 힘으로 압박하려는 듯 악수할 때 손을 꽉 쥐었고, 마크롱 대통령은 질세라 이를 악물며 대결하는 모습을 종종 연출한 바 있다.

AFP 통신은 이날 두 사람의 악수 시간이 17초간 지속됐다고 전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