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입틀막해도 이재명 사법리스크 안 사라져…‘어대명’ 경선 막아야”

“이재명, 명백한 사법리스크 인정해야…정권 교체 최대 악재”
“임기 2년 단축 약속해야…못하겠다면 재판 다 받고 출마하길”
“국론분열 유발하는 장외집회 동원령 멈춰야…집회는 시민 몫”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


[헤럴드경제=양근혁 기자]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5일 “민주당의 집권을 위해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을 막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저는 오늘 내전종식, 국민통합이라는 시대정신을 완수하고 민주당 집권의 방안에 대해 엄숙히 말씀드리겠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전 의원은 “윤석열은 이미 국민에 의해 파면됐다. 윤석열이 계엄을 선포했을 때 이미 국민은 윤석열을 파면했다”라며 “대략 2주 뒤 헌법재판소가 명확한 사실을 확인하는 절차만 남았다”라고 했다.

그는 “더는 시간이 없다. 2주 후면 경선이 시작된다. 경선이 시작되면 이재명 대표의 시계만 돌아갈 것”이라며 “나머지 후보는 비전 하나 제대로 밝히지 못하고 곧바로 이재명 후보 추대잔치에 들러리를 서야 할 판이다. ‘개헌 말고 탄핵에 집중하라’는 것은 ‘이번에는 누구도 나서지 말고 이 대표를 추대하라’는 말과 같다”라고 주장했다.

또 “‘입틀막’과 ‘어대명’ 민주당 경선은 국민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심리적 내부 분열을 가속시킬 것”이라며 “오히려 국민의힘 경선이 관심을 끌고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다. 국민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경선은 본선 경쟁력을 약화시킬 것이 뻔하다”라고 지적했다.

김 전 의원은 “대한민국 청사진으로 개헌과 선거법 개정을 추진해야 한다. 탄핵으로 촉발된 내전을 끝내고, 협치가 가능한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라며 “그것은 헌법개정과 선거법 개정을 당장 추진하는 것이다. 민주당은 수권정당으로서 탄핵 이후 대한민국의 청사진으로 지금 국민께 개헌과 선거법 개정을 약속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더불어 차기 대통령은 누가 되든지 임기를 2년 단축해서 2028년 대선과 총선을 동시에 실시하도록 분권형 4년 중임 개헌을 완수해야 한다”라며 “그래야 현재의 혼돈과 내전을 끝낼 수 있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김 전 의원은 “민주당의 최대 위기인 사법리스크를 대비해야 한다. 민주당에서 이 대표 사법리스크는 금기어”라며 “그러나 정권교체의 최대 악재는 바로 사법리스크다. 사법리스크에 대해 입틀막 한다고 해서 리스크가 사라지는 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 대표는 명백히 현존하는 사법리스크를 인정해야 한다. 또 민주당의 집권을 위해 당원과 국민에게 사법리스크의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라며 “필요하면 플랜B를 논의하는 것이 정상적인 민주주의 정당의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김 전 의원은 “내전종식과 민주당 집권을 위해 충정의 마음으로 이재명 대표에게 요구한다. 이 대표가 사법리스크를 넘어 민주당 집권에 역할을 할 수 있는 길”이라며 “개헌과 선거법 개정을 주도하는 협치를 실천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임기 2년 단축 개헌을 약속하시라. 국민통합과 국가발전을 위해 임기 2년 정도는 과감히 포기하는 통 큰 정치인이 되길 바란다”라며 “내전의 원인인 제왕적 대통령제와 양당체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차기 5년 임기를 다 채우는 것은 ‘내전을 종식시키지 않겠다’는 말과 같은 뜻”이라고 말했다.

그는 “5년간 내전을 두려워하는 사람도 개헌과 함께 ‘3년 이재명 정부’에 대해서는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 만일 이 대표께서 임기 5년을 다 채우겠다고 욕심을 낸다면 또 다른 불행의 시작이 될 것”이라며 “대법원 최종 판결 없이 이재명 후보가 당선되면 어떻게 되겠나. 국민 절반은 재판을 계속 받으라고 외치고, 국민 절반은 대통령이니까 재판을 중단하라고 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만일 이 대표께서 임기 2년을 단축하는 3년짜리 대통령은 정말 못 하겠다면, 사법리스크를 다 털고, 법원 재판 다 받고, 개헌 이후 4년 중임제 대선에 출마하길 권한다”라며 “그렇게 하면 대통령을 8년까지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 전 의원은 또 “내전과 국론분열을 촉발하는 탄핵집회 동원을 중단하라”라며 “내란 세력과 극우 파시즘의 준동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맞불을 놓는다고 수그러들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 대표는 장외집회 동원령을 멈춰야 한다. 집회는 시민의 몫”이라며 “혹여 정의로운 시민의 집회를 개헌 논의를 중단시키고 사법리스크를 숨기려는 정치적 계산이 있다면 포기하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