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 |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달러화의 기축통화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가상화폐의 일종인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려는 모습이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주재한 첫 ‘디지털 자산 서밋’에서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시했듯, 미국(달러)이 계속해 세계의 지배적 기축통화가 되도록 할 것이고 이를 위해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테이블코인은 가격이 급격하게 변동하지 않게끔 미 달러 같은 법정화폐와 일정한 교환가치를 갖도록 설계한 가상화폐다.
통상 스테이블코인은 그 가치를 지탱하고자 담보를 두는데, 미 국채를 담보로 활용하는 일이 많다.
그렇기에 스테이블코인 사용이 늘면 미 국채 등 달러 수요도 늘어 달러의 지배력을 더 공고히 할 수 있다는 게 트럼프 행정부의 생각으로 보인다.
미 국채 수요가 늘면 미 정부가 부담해야 할 장기 금리도 하락할 수 있다.
미 재무부는 지난해 10월 1200억달러 상당 미 국채가 스테이블코인 담보로 사용되는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한국이 보유한 미 국채 금액과 비슷한 규모다.
트럼프 행정부의 인공지능(AI)과 가상화폐 정책을 총괄하는 데이비드 색스는 지난달 4일 기자회견에서 “스테이블코인은 국제적으로 미국 달러의 지배력을 보장할 잠재력이 정말 있다”며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처리가 행정부 우선 순위라고 밝혔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서밋에서 “달러를 담보로 한 스테이블코인과 디지털 자산 시장에 규제 확실성을 제공하기 위한 법안을 작업하는 의원들의 노력에 내 강력한 지지를 표명하고 싶다”고 했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
한편 가상화폐 대장주로 통하는 비트코인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 주재의 첫 디지털 자산 서밋에도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는 양상을 보였다.
회의에는 미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최고경영자 브라이언 암스트롱과 엑스알피(리플)의 CEO 갈링 하우스, 트럼프가 설립한 가상화폐 기업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공동 창업자 잭 위트코프 등이 대거 참여했음에도 그랬다.
실제로 미 동부 시간 7일 오후 8시 31분(서부 오후 5시 31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8만5492달러에 거래됐다.
24시간 전보다 1.87% 하락한 수준이지만 이날 9만1000달러대까지 올랐던 일과 비교하면 6% 이상 내린 값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