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물협정 빠른 체결도 동의”
백악관 ‘고성 설전’ 갈등 봉합
트럼프 “푸틴과 금주 소통 추진”
![]() |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마이크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무장관, 안드리 예르막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실장, 루스템 우메로브토 우크라이나 국방장관이 11일(현지시간) 사우디아리비아 제다에서 사우디 정부 중재 하에 회담에 참여하고 있다. [AP] |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미국은 우크라이나와 30일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휴전하는 방안에 11일(현지시간) 전격 합의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 지원을 재개했다.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이날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9시간에 걸쳐 진행된 고위급 회담 후 이런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양국은 성명에서 “우크라이나는 미국이 제안한 즉각적인 30일간의 임시 휴전을 수락할 준비가 됐으며, 휴전은 당사자들의 상호 합의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면서 “이런 조치는 러시아의 수락과 이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은 상호주의가 평화 달성의 열쇠라는 점을 러시아와 소통할 것”이라며 “미국은 (우크라이나와) 정보 공유 중단을 즉시 해제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 지원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양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장기적 안보를 보장하고 우크라이나 광물 자원 개발을 위한 포괄적 협정을 가능한 한 빨리 체결하는 것에도 합의했다고 전했다.
전쟁 포로 교환, 민간인 수감자 석방, 러시아로 강제 이송된 우크라이나 어린이 귀국 등에 관한 방안도 논의됐다.
양국은 “협상팀을 구성, 우크라이나에 장기적 안보를 제공하고자 평화 협의를 즉각 시작하기로 했다”며 “미국은 러시아와 구체적 제안을 논의하기로 약속했고, 우크라이나는 유럽 파트너들의 ‘평화 프로세스’ 참가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또 “양국 대표단 모두 우크라이나 국민이 조국을 지키기 위해 보여준 용기를 높이 평가했으며, 지금이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과정을 시작할 적기라는 것에 동의했다”고 언급했다.
또 양국은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환대에 힘입어 우크라이나의 지속 가능한 평화를 회복하기 위한 중요한 조처를 했다”며 중재 역할을 맡은 사우디에 사의를 표했다.
이날 공동성명 발표로 지난달 두 정상이 백악관에서 벌인 고성 설전에 따른 갈등이 상당 부분 봉합된 것으로 보인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에게 사과 서한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회동 후 “이제 우크라이나 평화와 관련해 공은 러시아 쪽으로 넘어갔다”며 “우크라이나가 긍정적 조치를 했으니 러시아가 화답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루비오 장관은 “제안은 총격을 멈추자는 것”이라며 “러시아가 ‘예스’라고 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데드라인(기한)은 없지만 빨리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마이크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어떻게 종식시킬지에 대한 실질적인 세부 사항에 대해 논의했다”며 우크라이나를 위한 장기적 안전보장 방안도 다뤘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구체적 제안”을 가져왔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왈츠 보좌관은 “며칠 내 러시아 측과 대화할 예정”이라며 루비오 장관이 조만간 ‘주요 7개국’(G7) 외무장관 회동을 가질 것이라고 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성명에서 미국이 제시한 30일 일시 휴전안을 두고 “우크라이나는 이 제안을 환영한다”며 “우리는 준비가 됐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미국은 러시아가 이를 이행하도록 설득해야 한다”며 “미국은 우리의 주장을 이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