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우크라 “30일 휴전 동의· 군사지원 재개”…트럼프 “이제 우린 러시아로 간다”

미국-우크라 협상팀 사우디서 회담

“미국, 우크라 안보 지원도 재개”

트럼프 “푸틴도 동의하길 희망”

이번주 중 푸틴과 전화 통화 추진

마이크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실장,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무장관, , 루스템 우메로우 우크라이나 국방장관과 11일(현지시간) 사우디아리비아 제다에서 만나 사우디 정부 중재 하에 회담에 참여하고 있다. [로이터]

 

마이크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실장,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무장관, , 루스템 우메로우 우크라이나 국방장관과 11일(현지시간) 사우디아리비아 제다에서 만나 사우디 정부 중재 하에 회담에 참여하고 있다. [AP]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1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의 ‘30일 휴전’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미국이 러시아와 실무자 협의, 정상 전화 등을 통해 이번 휴전안을 설득하고 러시아가 수용하면 2022년 2월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마침내 휴전에 접어들게된다.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이날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9시간에 걸쳐 고위급 회담을 갖고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회담에는 미측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 우크라이나 측에서 안드리 예르마크 대통령 비서실장, 안드리 시비하 외무장관, 루스템 우메로우 국방장관이 참석했다.

양국은 성명에서 “우크라이나는 미국이 제안한 즉각적인 30일간의 임시 휴전을 수락할 준비가 됐으며, 휴전은 당사자 상호 합의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며 “이런 조치는 러시아의 수락과 이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은 상호주의가 평화 달성의 열쇠라는 점을 러시아와 소통할 것”이라며 “미국은 (우크라이나와) 정보 공유 중단을 즉시 해제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 지원을 재개하겠다”고 확언했다.

양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장기적 안보를 보장하고 우크라이나 광물 자원 개발을 위한 포괄적 협정을 가능한 한 빨리 체결하는 것에도 합의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이날 회담에서는 전쟁 포로 교환, 민간인 수감자 석방, 러시아로 강제 이송된 우크라이나 어린이들의 귀국 등의 방안도 논의됐다.

양국은 “협상팀을 구성, 우크라이나에 장기적 안보를 제공하고자 평화 협의를 즉각 시작하기로 했다”며 “미국은 러시아와 구체적 제안을 논의하기로 약속했으며, 우크라이나는 유럽 파트너들의 ‘평화 프로세스’ 참여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또 “양국 대표단 모두 우크라이나 국민이 조국을 지키기 위해 보여준 용기를 높이 평가했으며, 지금이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과정을 시작할 적기라는 것에 동의했다”고 언급했다.

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환대를 거론하며 중재 역할을 맡은 사우디아라비아에 감사의 뜻도 전했다.

공동성명 발표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 DC에서 취재진에게 “이제 우리는 (휴전안 수용을 설득하기 위해) 러시아로 가야 한다”며 “푸틴(러시아 대통령)도 (휴전안에) 동의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러시아 양국 당국자가 11일 또는 12일 만날 것이라면서 합의에 도달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미국 언론은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에 관여해온 트럼프 대통령 측근 스티브 위트코프 백악관 중동특사가 조만간 러시아를 방문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탱고를 추려면 두 사람이 필요하다”며 러시아의 호응을 촉구하면서 자신이 이번 주 중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젤렌스키 대통령을 백악관에 다시 초대할 것이냐는 질문에 “물론이다. 분명히 그렇게 할 것”이라고 답했다.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실장이 마이크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11일(현지시간) 사우디 제다에서 열린 회담에 참여한 뒤 탄약 박스에 그려진 그림(성화)을 소개하고 있다. [AFP]

이로써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지난달 28일 백악관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의 ‘고성 언쟁’에 따른 ‘노딜’ 파국을 딛고 양국간 광물협정과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에게 사과의 내용을 담은 서한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제다에서 회담을 마친 뒤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미국의) 제안은 총격을 멈추자는 것”이라며 “러시아가 ‘예스’라고 말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데드라인(기한)은 없지만 (답변을) 빨리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어떻게 종식할지에 대한 실질적인 세부 사항에 대해 논의했다”며 우크라이나를 위한 장기적 안전보장 방안도 다뤘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구체적 제안”을 가져왔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왈츠 보좌관은 “며칠 내로 러시아 측과도 대화할 예정”이라며 루비오 장관이 조만간 ‘주요 7개국’(G7) 외무장관 회동을 가질 것이라고 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성명에서 미국이 제시한 30일 일시 휴전안을 두고 “우크라이나는 이 제안을 환영한다”며 “우리는 준비가 됐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미국은 러시아를 설득해야 한다”며 “미국은 우리의 주장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