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2일 의대 정원 증원과 관련해 “2026학년도는 학생들이 돌아오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또 그 이후에는 증원을 하는 식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의대 정원 증원은 완전히 원천 무효가 됐느냐’고 묻자 “2027년부터는 추계위를 통해 필요한 만큼 증원이 되는 것인 만큼 의료개혁은 계속 진행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부총리는 “지금 학생들이 안 들어오는 상황이 1년이 넘었기 때문에 이것이 계속 지속된다면 의료교육의 붕괴까지도 걱정할 위기에 있다”면서 “그래서 어떻게 됐든 학생들이 돌아오는 것을 최우선적으로 해서 학생들을 설득하자고 하는 의료계의 제안을 교육부가 수용한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이 부총리는 “2025학년도에 증권된 1509명 정원은 유지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래도 의미가 있는 것은 의대 학장들이 나서준 것”이라며 “의료계에서 학장님들이 나섰다는 것은 상당히 큰 변화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박희승 민주당 의원은 사실상 한발 물러선 정부의 의료개혁을 두고 “정책의 일관성이 너무 현격한 차이가 나는 것 아닌가”라며 “의사 증원도 중요하지만 공공의료 필수의료 부분에 대해서 좀 장관님께서 더 각별한 관심을 가져 주시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 부총리는 “이번 과정에서 우리가 좀 뼈저리게 교훈을 얻은 것은 의료계와 소통을 충분히 훨씬 더 강화해서 의료계를 충분히 함께 우리와 함께 개혁해야 한다, 정부 혼자 힘으로 하기에는 너무 시대에 맞지 않는다”며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앞으로 이번에 학생들이 다 돌아온다면 의료계 학생들 또 전공의들, 교수님들, 의사분들 다 함께 저희가 충분히 소통하고 함께 좋은 방안을 만들어 내고 또 실행하는 그런 식으로 진행하겠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