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일 “MBK가 홈플러스 회생 지시한 것 아니다”…사재출연은 ‘무응답’

“홈플러스 회생 신청, MBK가 지시한 것 아냐…미리 준비도 없었다”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가 14일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에서 기업회생절차 돌입 이후 첫 기자간담회를 개최해 최근 불거진 논란들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상섭 기자


[헤럴드경제=신현주 기자] 김광일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14일 대주주 MBK 파트너스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을 지시했다는 주장에 대해 “MBK는 홈플러스에 3조2000억원을 투자한 주주”라며 “임원들이 함께 일하고 결정한 문제이고 MBK가 지시할 문제는 아니다”고 부인했다.

김 공동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기업회생절차는 주주가 가장 큰 희생을 하는 절차”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공동대표는 MBK 부회장을 겸임하고 있다.

김 공동대표는 김병주 MBK 파트너스 회장의 사재 출연 등 자구책 요구에는 “저희가 말씀드릴 사안이 아니”라며 “대주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는 의지는 분명하지만, 답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MBK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에 대한 의지가 있는지 묻는 질문엔 “MBK는 홈플러스가 부도나지 않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며 “부도가 나기 전 이를 막고 회사를 정상적으로 영업할 수 있는 방법은 기업회생밖에 없다고 생각했고 대주주로서 권한을 내려놓고 최대한 협력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김 공동대표는 조주연 공동대표를 비롯해 MBK의 홈플러스 인수 이후 임명한 경영진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모두 전문적인 경영진”이라고 두둔했다. 그는 “경쟁사 2곳(이마트·롯데마트)보다 저희의 성장세가 훨씬 가파르다”며 “경영 의지와 전략 모두 훌륭하신 분들”이라고 했다.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알았다는 사실이 밝혀진 데 대해 김 공동대표는 “(기업 회생신청을) 사전에 준비한 것은 없다”며 “신용등급 하락이 확정된 뒤 긴급히 검토했고 연휴기간 중 의사결정을 마무리해 신청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공동대표는 점포 추가 매각 및 구조조정 계획과 관련해 “계획 없다”고 선 그었다. 김 공동대표는 “회생신청 절차 개시 이후부터는 홈플러스가 주도적으로 구조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며 “회생절차는 채권자와 채무자, 법원이 함께 협력해 미래를 그리는 것이고 모든 채권자가 변제받을 수 있게 일하고 있다”고 답했다.

노동조합 측에서 MBK의 지속적인 점포 매각이 회사 경쟁력을 악화했다고 주장하는 것을 두고 김 공동대표는 “경쟁사들이 점포를 매각한 것과 비교하면 저희의 매각 점포 수가 적다”며 “2017~2018년에는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사회적 움직임에 따라 마트에서 근무하는 1만3000명의 노동자를 모두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김 공동대표는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구조조정을 해 노동자에게 악영향을 끼쳤다, 점포를 더 많이 정리했다는 주장은 모두 사실이 아니”라며 “홈플러스는 국내마트 3사 중 자연 퇴사율도 가장 낮다”고 주장했다.

한편 조주연·김광일 공동대표는 오는 18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리는 홈플러스 사태 긴급 현안질의에 참석한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