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재편 등 회생안 협상 진전 전망
극심한 평판위기에 국면돌파 승부수
![]() |
최근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으로 임직원 및 협력업체에 대한 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16일 서울의 한 홈플러스 매장 앞으로 시민들이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
[헤럴드경제=이정환 기자] 법정관리 절차를 시작한 홈플러스를 소유한 사모펀드 운영사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16일 사재출연 의사를 밝히면서,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협의에 새 활로가 트일 것인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회생계획안에 합의해줘야 할 채권단에서 ‘MBK 측이 손실 회피만 하고 진정성이 없다’는 불만을 보였기 때문이다.
MBK는 2015년 7조2000억원에 홈플러스를 인수했으나, 경영난이 장기화하자 이번 달 초 ‘선제적으로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법원에 신청해 개시 결정을 받았다.
이후 홈플러스 경영진과 회생계획안을 준비하며 메리츠금융그룹 등 주요 채권자들과 채권단협의회를 발족했으나, 양측 사이에 냉기류만 흐를 뿐 아직 정식 회의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회생계획안은 사업 혁신과 수익성 개선 등 핵심 경영 결정을 담은 문서로 채권단이 합의해야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채권단에선 ‘MBK가 책임을 제대로 지지 않고 추가 재원 출자 없이 부채 관련 협상의 주도권만 쥐려고 한다’는 불만이 쏟아진 것으로 전해진다.
MBK가 자구책 노력 없이 매장 매각 등 비롯한 기존 자산 쪼개기에만 열중해 경영 정상화에 대한 진정성이 부족하고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김 회장의 사재출연 소식은 아직 액수가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당장 상거래 대금을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은 출연하는 재원을 홈플러스와 거래하는 소상공인을 위한 결제 대금으로 쓰겠다고 밝혔으며, 구체적 지원 규모는 소상공인 거래처에 들어갈 금액이 확인되는 대로 정해질 전망이다.
MBK가 홈플러스에 자금을 수혈하며 문제 해결 의지를 확인한 만큼, 채권단과의 회생계획안 협의도 더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진전을 보일 가능성이 커졌다.
MBK·홈플러스는 올해 6월3일까지 법원에 이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하며, 이후 채권단의 최종 재가를 거쳐 계획안 실행에 나서게 된다.
홈플러스의 명운이 마트 노동자와 지역사회 고객 등 서민 생활에 미치는 여파가 큰 탓에, 이번 경영난으로 정계와 노동계 등에서는 MBK를 향해 ‘먹튀 자본’ 등의 도덕적 질타를 쏟아내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는 18일 홈플러스 관련 긴급 현안 질의를 열기로 하고 MBK 김 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했으나, 김 회장은 “투자가 완료된 개별 회사(홈플러스)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며 불출석 사유서를 냈다.
금투업계에서는 김 회장이 회사가 직면한 극심한 평판 위기를 감안해 이례적으로 사재출연이라는 승부수로 선택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MBK는 과거에도 케이블TV 업체 ‘딜라이브’와 건설자재 회사 ‘영화엔지니어링’ 등 수건의 경영 실패 사태를 겪었다.
금투업계의 관계자는 “최근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때문에 MBK가 재계에서 이미지가 나빠졌는데 홈플러스 법정관리까지 겹치면서 진짜 우군이 없는 사면초가 상태가 됐다”며 “한국에서 계속 사업을 해야 하는 MBK로서는 국면 전환의 결단을 내릴 필요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
투자3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