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3년까지 82만명 일손 ‘부족’…4년 후 취업자 수↓”

취업자수 2029년 감소세 전환 전망…2033년 추가 필요인력 82만
고용정보원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경제활동인구 2030년부터 감소
2023∼2033년 경제활동인구·취업자 증가폭 10∼20년前 대비 8∼10% 수준
고령화 등 노동공급 제약 탓…“여성·청년·고령자 노동시장 유인책 절실”


ICT 기술과 인재를 연결하는 2024 부산 ICT 일자리 박람회가 열린 20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한 구직자가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앞으로 4년 후에는 일손이 크게 부족해질 것이란 우울한 전망이 나왔다.

고령화로 노동공급이 감소하면서 경제활동인구가 2030년부터 감소한다는 것이다. 취업자 수는 이보다 한 해 이른 2029년부터 감소로 돌아설 전망이다.

문제는 산업연구원이 제시한 2033년까지의 연평균 경제성장률 1.9%를 뒷받침하기 위해 2033년까지 추가로 필요한 인력의 규모는 82만1000명이라는 점이다.

2023~2033년 경활 인구 24.8만명↑…앞선 10년의 ‘10분의1’


한국고용정보원은 2033년까지 우리나라 노동 시장의 공급(경제활동인구)과 수요(취업자)를 전망하고, 추가 필요 인력을 제시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17일 발표했다.

[한국고용정보원 제공]


전망에 따르면 2023∼2033년 경제활동인구는 24만8000명 증가한다. 앞서 2003~2013년에는 306만5000명, 2013∼2023년에는 309만5000명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2023∼2033년 경제활동인구 증가분은 앞선 연도 수치들의 8% 수준에 불과하다. 경제활동인구는 전망 전기(2023∼2028년)에는 증가하지만, 후기(2028∼2033년)에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구체적인 감소 시점은 2030년부터다.

고용정보원은 양적으로 축소될 뿐만 아니라 고령층의 비중이 확대되는 등 구성 효과 때문에 노동공급의 제약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같은 기간 취업자 수는 31만2000명 증가하겠지만, 전망 후기에는 약 8만5000명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구체적으로는 2028년에 최고점인 2881만3000명을 기록한 후 2029년부터 전년 대비 1만4000명 줄어 감소세로 전환될 전망이다. 취업자 수 역시 2003∼2013년에는 304만9000명, 2013∼2023년에는 311만6000명 증가했는데 이번 전망의 31만2000명은 앞선 수치 대비 10% 수준이다.

성장률 1.9% 달성 위해선 2033년까지 82.1만명 추가 유입 필요


[한국고용정보원 제공]


취업자 수는 고령화·돌봄 수요 확대 등으로 사회복지와 보건업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고, 디지털 전환 등 기술혁신의 영향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등 출판업에서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온라인화·플랫폼화 등 산업구조 전환의 영향으로 소매업, 음식·주점업, 도매 및 상품중개업은 감소할 전망이다. 직업별로는 돌봄, 보건 및 개인서비스직, 보건·사회복지직, 공학전문가, 정보통신전문가 등은 증가하지만 매장판매직, 장치, 기계조작직, 교육전문가 등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15세 이상 고용률도 2023년 62.6%에서 2033년 61.7%로 0.9%포인트 하락할 전망이다.

문제는 산업연구원에서 목표로 제시한 장기 경제성장 전망치(1.9%)를 달성하기 위해선 2033년까지 노동시장에 취업자 82만1000명이 추가로 유입돼야 한다는 점이다. 82만1000명은 1.9%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이 2954만9000명이지만 고령화 등에 따른 노동력 공급 제약을 고려할 때 2872만8000명만이 공급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산출된 부족 인력이다. 연평균 필요 인력은 전기는 5만8000명, 후기는 10만7000명이다. 특히 향후 10년간 고용 증가가 가장 큰 보건복지업과 제조업, 도소매업의 인력 부족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직업군으로는 전문가, 사무직 등 고숙련 직업군과 단순노무직·서비스직 등 중저숙련 직업군에서도 인력이 크게 필요할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이번 전망은 지난해 고용정보원이 2022∼2032년 전망으로 내놨던 취업자 수 감소시기 2028년, 추가 필요인력 89만4000명보다 1년 늦춰지고 7만3000명 줄어든 수치다. 고용정보원은 “작년엔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1.9∼2.1% 구간으로 설정했는데, 올해는 1.9%로 고정돼 이를 반영했더니 작년과 비교해 전망치가 소폭 변동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사회의 고령화가 심화하면서 산업 전환 및 노동시장의 중대한 구조적 전환기가 도래한 만큼 인력 수급을 위한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노동력 감소에 대응해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 인력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을 강화하고, 업종·직종별 변화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책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경제활동 참여율이 낮은 여성과 청년, 고령자에 대한 유인책을 제공해 노동시장의 참여를 확대하는 것이 첫 과제”라며 “기술변화에 적시 대응해 생산성 높여 부족한 노동력을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