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속도 개선, 배터리 상세정보 제공 차량에 추가지원
![]() |
[123RF] |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정부가 배터리 교환형 전기이륜차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강화하는 등 160억원을 투입해 올해 전기이륜차 2만대를 보급한다.
환경부는 17일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보조금 업무처리지침 및 2025년 전기이륜차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설치 보조사업 운영지침’을 확정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전기이륜차 2만대 보급을 목표로 구매보조금 160억원을 지급하고, 50억원을 투입해 배터리교환형 충전 시설 500기 설치를 지원하기로 했다.
올해 보급 목표는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많다. 지난해는 9546대가 보급됐다. 정부 지원은 지난해 약 100억원에서 올해 160억원으로 책정됐다.
정부는 충전시설 표준화를 강화한다. 2023년 국가표준이 마련됐지만, 여전히 제작사마다 다른 배터리를 사용하는 가운데 올해부터는 국가표준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교환형 충전 시설은 설치 비용이 지원되지 않는다. 특정 제작사의 배터리만 사용할 수 있는 불편을 줄이기 위한 조치다.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에 대한 보조금도 늘린다. 기존에는 차량 가격의 60%를 지원했지만, 올해는 70%로 상향한다.
그간 전기이륜차 이용의 주요 불편사항으로 제기됐던 충전속도를 개선한 차량, 소유주가 배터리 상태정보를 차량 디스플레이, 이용자 앱 등을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차량에 대해서는 차량규모별 보조금 한도 내에서 보조금을 최대 10만원까지 추가 지원한다.
이밖에도 기존 보급대상 차량의 평균성능 등 변동값이었던 연비 및 등판계수를 올해부터는 고정값으로 변경해 업계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기술개발이 가능하도록 한다.
확정된 ‘전기이륜차 보조금 지침’과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지침’은 17일부터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에 게재되며, 4월 중 공모가 진행될 예정이다.
오일영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도심지 내 대기질 개선과 생활소음 저감에 강점이 있는 전기이륜차 시장은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라며 “업계의 기술혁신을 이끌어내고 배터리교환형 등 소비자 선택의 폭을 늘려 보다 편리하고 경쟁력 있는 전기이륜차가 보급되도록 지원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
보조금 지급대수 기준. 보조금 미지급 차량으로 국토교통부 신고대수(2023년 9048대, 2024년 10,406대)와 차이[환경부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