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美 실리콘밸리에 연구거점 신설
![]() |
이규석 현대모비스 사장 |
현대모비스는 전동화·전장·램프 등 모빌리티 부품용 주요 반도체에 대한 연구개발(R&D)과 신뢰성 검증을 마치고 양산을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2020년 현대오트론으로부터 반도체 사업을 인수한 지 5년 만에 자체 설계한 차량용 반도체 양산 성공 사례를 늘리는 데 성공하는 등 핵심 부품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있다는 평가다.
현대모비스가 올해 양산하는 주요 반도체로는 전기차의 전원 제어기능을 합친 전원통합칩과 램프구동 반도체 등이 꼽힌다. 이미 공급 중인 배터리관리집적회로(IC)는 차세대 제품 개발에 속도를 낸다.
현대모비스가 차량용 반도체 내재화를 추진하는 배경은 모빌리티 산업의 전장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조사기관에 따르면 현재 양산 중인 차량에 많게는 3000여개의 반도체가 들어간다. 자율주행과 전동화 기술이 확대 적용되면서 필요한 수량도 빠르게 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주요 기업과 협력사,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반도체 수급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국내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를 구축해 완성차 경쟁력에 기여하고 공급망 안정 효과에도 이바지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오트론 인수 이후 현대모비스는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며 전력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 전략을 폈다. 먼저 전력반도체 설계 내재화를 통해 ‘전동화 밸류체인 완성’을 목표로 내걸었다. 전력반도체는 전기차 주행거리와 구동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재 현대모비스는 전력반도체 여러 개를 통합하고 냉각기능을 추가해 한 단계 더 큰 단위인 ‘파워모듈’을 양산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현대모비스는 ‘전력반도체-파워모듈-인버터-모터-PE시스템’으로 이어지는 전기차 구동계의 모든 진용을 갖춘다는 방침이다.
시스템반도체는 전원·구동·통신·센싱·네트워킹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자율주행과 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SDV)를 구현하기 위한 제어기의 숫자가 늘면서 시스템반도체의 경쟁력이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부품사로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물론 반도체까지 원스톱으로 설계하는 역량을 갖춰 고객사에 제공할 맞춤형 신기술의 범위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현대모비스는 중장기 반도체 연구개발 전략에 따라 내년에는 실리콘 기반 고전력 반도체(Si-IGBT)를, 2028년과 2029년에는 각각 차세대 배터리관리 IC와 실리콘카바이드 기반 전력반도체(SiC-MOSFET) 양산을 목표로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아울러 현대모비스는 올해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협업을 강화하고 해외 인재 확보를 위해 미국 실리콘밸리에 전문 연구 거점을 신설한다. 실리콘밸리 연구거점은 국내 연구소와 함께 투트랙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박철홍 현대모비스 반도체사업담당 전무는 “실리콘밸리 연구거점 신설을 통해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를 확대 구축하고, 해외 주요 기업과의 연구개발 협력 사례를 늘릴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전동화와 전장부품용 핵심 반도체 독자 개발을 가속하겠다”고 했다. 서재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