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플랜트 수주 목표 51.3조…제도적 기반 확대”

정인교 통상본부장 ‘정책 포럼’ 축사


정부가 올해 우리나라의 해외 플랜트 수주 목표를 작년(341억달러)보다 소폭 증가한 350억달러(약 51조3300억원)로 제시했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1일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플랜트 업계 관계자들과 전문가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2025 플랜트 정책 포럼’ 축사에서 이 같은 목표를 공개했다.

산업부가 주최하고 한국플랜트산업협회가 주관한 이날 포럼에는 한국수출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코트라(KOTRA),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원스톱수출수주지원단, DL이앤씨, GS건설, SK에코엔지니어링, 대우건설, 두산에너빌리티, 삼성E&A, 포스코이앤씨, 현대건설 등이 참석했다. 포럼에서는 ▷트럼프 2.0 출범에 따른 플랜트 업계 영향 및 대응방안(한국수출입은행) ▷ 2025 에너지 트랜지션에 따른 글로벌 플랜트 시장 투자 동향(에너지경제연구원) ▷우크라이나 종전 이후 재건시장 진출 방안(KIND) 등 해외 플랜트 관련 주요 글로벌 동향에 관한 전문가들의 주제 발표가 이뤄졌다.

산업부에 따르면 연도별 해외 플랜트 수주 실적은 2015년 365억달러로 최고점을 기록하다가 2016년 300억달러미만으로 바닥을 찍고 2023년 302억달러로 반등한 후 지난해 341억달러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정 본부장은 “최근 2년간 해외 플랜트 수주 실적이 300억달러를 돌파해 2015년 이후 최대 성과를 거두게 된 것은 업계의 노력 덕분”이라며 “정부도 업계를 돕기 위해 글로벌 사우스 및 주요 국가와의 협력을 지속하고, 정부 지원 사업 운영규정제정 등 제도적 기반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올해 수주 여건과 관련해 지난해보다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졌으나 세계 에너지 공급 증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등 기회 요인도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며 “우리 기업의 해외 수주 활동을 정부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배문숙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