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검사 연령 확대
![]() |
영유아 발달 검사 모습. [서울시 제공] |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운영하는 ‘서울아이발달지원센터’에서 무료 발달검사 및 상담을 받은 영유아가 1만명을 돌파했다.
서울시는 양육자와 보육 현장의 큰 호응에 힘입어 개소 3년 차에 접어드는 올해는 검사 연령을 확대하고, 검사 결과 도움·관찰이 필요한 영유아에 대한 후속 지원을 강화하는 등 ‘서울아이발달지원센터’ 운영을 한 단계 끌어올린다고 25일 밝혔다.
2023년 6월 문을 연 서울아이발달지원센터는 언어·인지 등 발달 지연이 걱정되지만 비용이 부담되거나 병원에서 장시간 대기해야 하는 문제 등을 고려해 무료 발달검사부터 심층 상담, 치료 연계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전국 최초 시설이다.
센터는 코로나19로 인한 오랜 마스크 착용으로 언어 및 대인관계에 노출될 기회가 줄어들고, 스마트폰 사용이 늘면서 사회성과 인지발달에 어려움을 겪는 영유아가 많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 출발했다. 영유아의 발달 지연 여부가 우려되는 성장 시기(만 15~36개월)에 조기 검사하고, 상대적으로 발달이 느리다고 진단되는 영유아는 조기 개입함으로써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지원한다.
지금까지 총 1만1343명이 선제적인 무료 발달검사 및 맞춤 상담을 받았다. 검사 결과 ‘관찰’이 필요한 아동은 부모와 함께하는 발달지연 예방 집단 프로그램인 ‘발달놀이터’ 참여로 연계되었다. ‘도움’이 필요한 아동은 센터에서 제공하는 무료 심화평가 수검 등 검사 결과에 따른 사후관리도 함께 이뤄졌다.
센터 전문 상담사가 어린이집을 방문해 진행한 ‘찾아가는 발달검사’(1세반 대상)를 받은 아동은 8887명, ‘온라인 발달검사’(18~36개월)를 받은 아동은 882명이었다. ‘발달놀이터(발달지연 예방 집단 프로그램)’는 영유아의 발달 및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부모참여형 프로그램으로 1인당 총 4회기로 운영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부모와 아동 총 530명이 참여했다.
또한, 관찰이나 도움이 필요한 아동은 센터와 협약을 체결한 전문치료기관(총 72개소)을 연계 받아 추가적인 평가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 |
서울아이발달지원센터 개소식 모습. [서울시 제공] |
한편 서울아이발달지원센터 발달검사에 대한 지난 2년간의 만족도 조사 결과 평균치를 살펴보면 양육자의 98.4%, 보육교직원의 98.0%가 “필요한 사업”이라고 응답했다.
서울시는 센터를 이용하는 양육자와 보육교직원의 생생한 소감 및 건의사항을 적극 반영해 올해 개선계획을 마련한다.
올해부터 달라지는 내용은 ▷‘찾아가는 어린이집’ 검사연령 확대(1세반→1~2세반) ▷36개월~미취학 아동 ‘온라인 스크리닝’ 검사 신규 추진으로 전연령 발달검사 지원 ▷‘도움필요 아동’에 대한 ‘발달도움 코칭 프로그램’ 신규 추진으로 1:1 맞춤형 후속조치 ▷‘관찰필요 아동’ 대상 ‘발달놀이터’ 6→8개소 확대 등 후속지원 강화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소중한 우리 아이들이 발달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지원 대상과 프로그램을 지속해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