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이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울산·경북·경남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4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행정안전부 제공] |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전국에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 진화에 관계부처가 총력전을 펼치고 있지만, 경북 의성 지역은 진화율이 절반에 그치고 있다. 강풍, 건조 등 기상여건과 지형, 산불규모 등에 따라 진화율은 시시각각 변하고 있다.
정부는 2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 주재로 울산·경북·경남 산불대응 중대본 4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행안부, 산림청, 소방청, 경찰청, 기상청, 교육부,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국가유산청, 한국전력공사, 한국도로공사, 17개 시·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7시 현재 산불은 4건으로, 평균 진화율은 88%이다. 그러나 진화율은 현장 상황에 따라 계속 변하고 있다.
![]() |
전국 산불 현황[행정안전부 자료] |
이날 회의에서는 산불 진화상황과 기관별 주요시설 보호현황, 추가 산불 예방 조치계획 등을 논의했다.
산림청은 총 110대의 헬기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진화하고 있고, 민가주변에 지연제를 살포해 산불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소방청은 전국의 소방자원을 총동원해 산불영향구역 인근 민가와 인명보호를 최우선에 두고 진화에 대응하고 있다.
관계부처와 지자체는 추가 인명·재산 피해 저지를 위해 도로 차단, 사전 주민대피 등 안전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고기동 중대본 본부장은 “산불 진화헬기가 대형산불 발생지역에 집중 투입될 수 있도록 타 지역에서는 산불 예방활동에 철저를 기해달라”며 “대형산불에 정부의 가용 자원이 집중될 수 있도록 국민께서도 산불 예방에 함께 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24일 울산 울주군, 경북 의성군, 경남 하동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했다. 3개 지역은 정부 차원의 피해 수습 조치가 이뤄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