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완 LG전자 CEO, “질적성장 2030년까지 50%로 확대…인도·중동 공략해 성장 가속화”

LG전자 25일 제23기 정기주주총회 개최
질적성장 영역 비중, 2030년 매출의 50%로 확대
인도, 중동, 중남미 등 지역 포트폴리오 전략 추가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CEO)는 25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위에서 열린 제23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개회 선언을 하고 있다. 김민지 기자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LG전자가 2030년 ‘질적 성장’ 영역 비중을 50% 이상으로 확대한다. 인도, 브라질 등 신흥개발국들로 대표되는 ‘글로벌 사우스’ 지역을 공략하며 지역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 많은 인구수와 가파른 경제성장률로 가전 및 B2B 시장의 성장 잠재성이 큰 지역에서 새로운 수익을 창출, 실적 개선의 돌파구를 찾는다.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CEO)는 25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위에서 열린 제23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지난해 최대 매출 등 견조한 경영성과를 기록한 데에는 ▷기업간거래(B2B) ▷가전구독과 web(웹)OS 플랫폼 사업 등을 포함한 Non-HW(논-하드웨어) ▷소비자직접거래(D2C) 등의 ‘질적 성장’이 크게 기여했다”며 “질적 성장 영역이 전사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지난해 42%에서 2030년 50%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B2B 사업 중 핵심으로 꼽히는 냉난방공조(HVAC)와 전장 사업의 매출을 2030년까지 2배 가량 키우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HVAC 사업은 지난 4년간 연평균 12%의 성장을 하면서 B2B 사업의 핵심 동력으로 성장했다.

LG전자는 올해부터는 기존 성장전략에 ‘지역’이라는 전략의 축을 더한다. 성장 잠재력이 높은 중남미, 중동·아프리카 등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로 대표되는 신흥시장에서의 성장 가속화를 추진한다.

조 CEO는 “대국(大國)인 인도를 비롯해 IT기업이 몰려드는 중동, 그리고 AI 데이터센터 등의 사업 기회가 발생하고 있는 아시아 지역이 대표적”이라며 “특히 인도는 경제의 안정성이라든지 성장성 관점에서 독보적”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인도 시장에 오랜 기간 공을 들여왔다. 인도의 인구수는 약 14억5000만명으로 세계 1위다. 국내총생산(GDP)은 세계 5위며, 전체 인구 중 25세 미만이 약 40%에 달하는 ‘젊은 국가’다.

높은 인구 밀도에 비해 가전 보급률은 낮아 성장성이 매우 높다. 코트라(KOTRA) 현지 무역관에 따르면, 인도 가전제품 시장은 2019년 110억 달러(14조6300억원)에서 올해 210억 달러(27조9300억원)로 2배 가까이 커질 전망이다.

조 CEO는 “인구의 1인당 GDP는 2026년 3000달러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때가 되면 구매력이 있는 중산층도 크게 늘어나 가전 보급률이 약 10~20% 급증하는 그런 변곡점이 발생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시장은 2028년까지 각각 연평균 13%, 9%, 21%씩 성장할 전망”이라며 “지금보다 최대 2배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일찌감치 인도 시장에 진출해 ‘국민브랜드’로 자리잡았다. 지난해 상반기 중 LG전자 세탁기의 인도 시장점유율은 33.5%에 달했다. 냉장고(28.7%)와 인버터 에어컨(19.4%)도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LG전자는 현재 수도권인 노이다와 중서부 푸네에 생산공장을 두고 있다. 현재 인도 남부 안드라프라데시주(州) 스리시티에 인도 3공장을 신설 중이다.

LG전자 인도법인은 지난해 매출 3조7910억원, 이익 3318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각각 14.8%, 43.4% 상승했다. 이르면 올 상반기 중 인도 증시에 기업상장(IPO)도 앞두고 있다. 현지 매체들은 IPO 규모를 1500억 루피(약 2조5000억원) 상당으로 추산하고 있다. 인도 증시 IPO 역사상 다섯 번째 규모다.

한편, LG전자는 이날 주주총회에서 재무제표 승인, 정관 변경 승인, 이사 선임,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이사 보수한도 승인 등의 안건을 원안대로 승인했다. ㈜LG 부회장인 권봉석 기타 비상무이사와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영대 교수인 류충렬 사외이사 겸 감사위원을 각각 이사로 재선임했다. 인적자원관리 전문가인 강성춘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를 새 사외이사로 임명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