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장에 네이버 출신 지두현 상무
![]() |
지두현 통합혁신센터장 |
현대오토에버가 개발체계 혁신을 위한 사내 별도조직인 ‘통합혁신센터’를 설립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래 모빌리티 기술에서 SDV(소프트웨어중심차량) 등 소프트웨어(SW) 분야의 중요성이 날로 커져가는 상황 속에서 개발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차원의 조치로 풀이된다.
26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오토에버가 최근 설립한 최고경영자(CEO) 직속 통합혁신센터는 향후 본사 등 국내사업장과 해외법인 등 전사의 기술개발 프로세스와 환경을 들여다보게 된다. 이를 통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SW 개발 품질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통합혁신센터장은 지난해 SW개발센터장을 맡았던 지두현 현대오토에버 상무가 맡게 된다. 앞서 ▷네이버 ▷라이엇게임즈 코리아 ▷쏘카를 거쳐온 지 상무는 IT업계에서 25년간 경력을 쌓아온 인물이다. 주로 최고기술책임자(CTO)와 본부장 등 주요 직책을 역임해 온 바 있으며, 백엔드부터 프론트엔드까지 풀스택 설계와 구현 능력 등 기술적 역량을 겸비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통합혁신센터 산하에는 현대오토에버 8개사업부에서 추천한 기술리더 16명이 참여하는 ‘SW기술 거버넌스 위원회’도 구성된다. 각 개발자 간의 기술 소통을 강화하고 이를 개발 관리체계에 반영하기 위한 조직이다. 위원회는 구성원의 제안과 피드백을 기반으로 표준 개발 가이드를 수립하는 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지 센터장은 사내에서 향후 통합혁신센터의 운영 중심이 될 기술지향점을 공유하는 행사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현장에는 현대오토에버 소속 팀장급 인사 200여명이 참석했다. 지 센터장은 현장에서 민첩성과 효율성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합혁신센터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현대오토에버의 ▷기획 ▷디자인 ▷개발 ▷검증 ▷배포 ▷운영 ▷유지 분야 전반을 들여다보게 된다.
지 상무는 현장에서 “협업도구를 표준화해 물리적 위치에 상관없이 국내외 개발자들이 기민하게 협업하며 일하는 ‘원팀’ 조직문화도 정착해 나갈 것”이라며, “이를 통해 고객사가 신뢰할 수 있는 고객 중심의 IT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소프트웨어 전문계열사인 현대오토에버는 모빌리티 IT 분야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다. 모빌리티 IT분야에서는 전 영역의 모빌리티에 적용 가능한 글로벌 표준 소프트웨어와 통합 OTA, 자율주행 정밀 지도, 고성능 업데이트 등 차량 소프트웨어 기술을 연구하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야에서는 스마트 팩토리, 모빌리티 서비스, 스마트시티, 그룹 내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AI) 서비스와 시스템 통합(SI)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차량용 소프트웨어와 공정 혁신 등 현대자동차그룹이 추진하고 있는 모빌리티 혁신 전반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최근들어서 IT 분야에서 대거 인력을 채용하고 사업부를 늘리는 등 몸집 불리기에 적극적으로 나서 왔다. 김성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