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긴급자금 지원…보험사는 납부 유예
카드사 대금 청구 유예…상호금융도 참여
금융권이 경상도 산불 피해 복구를 지원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금융그룹을 비롯해 은행, 보험, 2금융권 등은 최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한 산불 피해 복구 지원에 일제히 나섰다.
4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은 이번 산불 피해를 지원하기 위해 총 40억원의 성금을 기부했다. KB금융그룹은 산불피해 지역 긴급 구호·피해 복구와 이재민 생필품·주거안전 확보를 위해 10억원의 성금을 냈다. 그룹 차원의 재난·재해 상시 대응 체계를 활용해 피해 지역에 긴급 구호상자와 급식차도 지원한다.
KB국민은행은 피해 금액 범위 내에서 특별 대출을 지원한다. 개인대출의 경우 긴급 생활안정자금으로 최대 2000만원까지 지원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KB손해보험은 장기보험 고객에게 연체이자 없이 보험료 납부를 유예하고, KB국민카드는 신용카드 결제 대금 청구를 최대 6개월간 청구 유예하기로 했다.
신한금융그룹도 10억원의 금융지원을 실시했다. 신한은행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최대 5억원의 신규 여신 등을 지원한다. 신한카드는 피해 고객의 카드대금을 6개월 후에 상환하도록 하는 ‘청구유예’, 유예 기간 종료 후 6개월간 ‘분할상환’을 지원한다. 신한라이프도 피해 고객의 보험료 6개월간 납부유예 등 금융지원을 실시한다.
하나금융그룹도 성금 10억원과 함께 생필품이 담긴 행복상자 1111개를 지원한다. 하나은행은 화재 피해를 본 중소·중견기업·개인사업자에게 최대 5억원을 지원한다. 개인에게는 최대 5000만원 이내의 신규자금과 만기 연장 등을 지원한다. 피해를 본 중소·중견기업과·개인사업자, 개인 등에게 우대 금리를 적용해준다.
하나카드도 결제자금의 최대 6개월 청구 유예 등을 지원하고, 하나생명과 하나손해보험은 각각 이자 납부 6개월 유예, 추정 보험금 최대 50% 우선 지급 등을 실시한다.
우리금융그룹은 대한적십자사에 10억원을 기부하고, 재난구호상자 1000세트와 구호급식차량을 현장에 급파했다. 계열별로 우리은행은 우선 산불피해를 본 지역주민에게 개인 최대 2000만원의 긴급 생활안정자금대출과 대출금리 최대 1%포인트 감면한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총한도 2000억원 규모 내에서 최대 1.5%포인트 금리를 감면해 5억원까지 운전자금이나 시설자금 대출을 제공한다.
우리카드도 피해 고객에게 결제대금을 최대 6개월까지 상환 유예한다. 우리금융캐피탈은 대출 원금 납부를 최대 6개월 유예해주고, 우리금융저축은행은 대출금 원리금 상환을 3개월 유예하기로 했다.
지방 금융그룹도 힘을 보탰다. BNK금융그룹은 3억원 규모의 성금과 중·단기 특별 금융 지원 등이 포함된 긴급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DGB금융지주와 iM뱅크 임직원으로 구성된 긴급구호봉사단은 이재민들 임시대피소를 찾아 식수 등 구호 물품을 전달했다.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도 각각 2억원의 복구 지원금을 전달했다.
생명·손해보험협회는 총 1억원의 구호 성금을 전달했다. 태광그룹의 금융계열사인 흥국생명과 흥국화재도 산불 피해 지역 고객을 대상으로 ▷보험료 납입유예(6개월) ▷대출원리금 상환유예(6개월) ▷사고보험금 신속지급 ▷제지급금 신속 지급 등을 지원한다. 흥국생명은 보험계약 대출이자 감면(6개월)도 추가로 제공한다.
2금융권도 피해 지원에 발 벗고 나섰다. 새마을금고는 산불피해복구 지원을 위해 전국재해구호협회에 구호금 5억원과 긴급생활 안전자금,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등을 지원했다. 627개의 이재민 구호키트도 전달했다.
금융당국은 지난 24일 금융권 ‘피해지원 금융상담센터’를 설치하고, 산불 피해 가계·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금융지원 방안도 마련했다. 앞서 정부는 산청 지역을 특별재난 지역으로 지정했다. 금융감독원 각 지원에 상담센터도 개설했다. 김벼리·박성준·유혜림·정호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