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미 재정적자 악화” 경고

“미 재정 건전성 수년간 지속 하락”

“트럼프 2기 정책 득보다 실이 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EPA]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국제신용평가기관 무디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재정 적자나 금리 상승에 대처하는 능력을 저해할 수 있다며 미 재정적자가 악화할것이라고 경고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무디스는 25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미국 재정 건전성은 수년간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이라며 “이미 2023년 11월 이후 더 악화했다”고 평가했다.

무디스는 2023년 11월 미국의 장기 국가 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인 ‘Aaa’로 유지하면서도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춘 바 있다.

무디스는 미국이 ‘특별한’ 경제 회복력을 갖고 있으며, 달러화가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중추 역할을 하고 있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은 정부 재정에 득보다는 실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무디스는 “지속적인 고율 관세나 대체 재원이 없는 감세, 한번 발생하면 경제에 큰 영향을 주는 꼬리 위험 등이 신용에 부정적으로 작용해 미국 경제의 장점이 재정 적자나 부채를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약화시켰다”고 말했다.

꼬리 위험이란 확률이 낮아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일단 사건이 발생하면 시장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를 뜻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다.

무디스는 이어 “경제나 금융환경이 유리하게 펼쳐질 때도 재정 악화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최근 미국 의회와 연방정부는 재정적자 해소 방안을 놓고 격렬한 논쟁을 벌이고 있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미국 연방정부 부채와 재정 적자가 급격히 증가하면 궁극적으로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근간을 이루는 미국 국채 수요가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세계 최대 채권 운용사 중 하나인 핌코는 지난해 말 ‘지속 가능성 문제’로 인해 미국 장기 국채 매입을 주저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30일로 마감된 회계연도의 미국 연방정부 재정 적자는 전년 대비 8% 증가한 1조8000억 달러다.

무디스는 “미국의 부채 상환 능력은 다른 고신용 등급 국가들보다 실질적으로 약하다”면서 “무역, 이민, 세금, 연방정부 지출 및 규제에 대한 미국 행정부의 정책의제가 진화하면서 미국과 세계 경제의 일부가 재편돼 장기적으로 중대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