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공동어시장. |
[헤럴드경제(부산)=조아서 기자]전국 최대 규모의 산지 어시장인 부산공동어시장을 이끌어 나갈 신임 대표이사 선출을 앞두고 후보자 간 물밑 경쟁이 치열하다. 특히 1963년 개장 이래 처음 주주 구성이 개편된 가운데 수협중앙회가 최대 주주로 등극하면서 이러한 지형 변화가 차기 대표 선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26일 부산공동어시장에 따르면 이번 대표이사 공모에는 박세형 전 수협노량진수산 대표이사, 임정현 전 부산시 해양농수산국 수산정책과장, 정연송 전 대형기선저인망수협 조합장, 정의석 세진물산 대표(가나다 순) 4명이 후보로 등록했다. 수협, 유통, 공무원, 수산업체 출신 등 후보마다 전문 분야가 다양하다.
박세형 전 수협노량진수산 대표이사는 40여년 간 부산공동어시장 지정중도매인으로 중도매업을 운영하면서 유통전문가로서 입지를 다졌다. 다만 2012년과 2015년, 2018년 총 세 차례 대표이사 자리에 도전해 최종 후보에도 오른 적이 있지만 수협 조합장들의 지지를 얻지 못해 낙마한 바 있다.
임정현 전 부산시 해양농수산국 수산정책과장은 외부 인사라는 점이 장점이자 단점이다. 막대한 국비와 시비가 투입된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 사업을 이끌어야 하는 만큼 대외업무 능력은 물론 풍부한 행정 경험이 유리하게 작용하지만 다른 후보들에 비해 현장 경험이 적다는 지적을 받는다.
정연송 전 대형기선저인망수협 조합장은 수산 현장에 대한 경험이 탄탄한 반면 수협 조합장 입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게 업계 평가다. 특히 노동진 수협중앙회장과 인연이 각별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각 후보들은 노 회장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의석 세진물산 대표는 수산업체를 경영하는 등 현장 실무로 내실을 다진 수산인으로서 중도매인들의 지지를 받고 있지만 행정 경험이 비교적 적다는 게 약점으로 꼽힌다.
이번 대표이사 선임에는 수협중앙회가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협중앙회는 지난달 현대화 총사업비 중 국비(70%)와 시비(20%)를 제외하고 어시장이 분담할 자기부담금(10%) 223억원을 출자, 지분 19.4%를 획득해 최대 주주가 됐다. 대형선망·대형기선저인망·서남구기선저인망·부산시·경남정치망 등 기존 5개 출자수협의 지분은 각 20%에서 16.12%로 조정됐다.
각 수협은 소유한 지분율에 따라 의결권을 가지기 때문에 수협중앙회는 출자수협 2곳과만 뜻을 모아도 인선을 좌우할 수 있다. 즉 수협중앙회의 지지를 받는 후보는 수협 5곳의 표 중 2표만 얻으면 된다. 반면 수협중앙회의 지지를 받지 못한 후보는 수협중앙회를 제외한 수협 5곳의 표 중 4표를 획득해야 한다.
일각에서는 특정 인사를 대표이사로 앉히기 위해 담합이 이뤄질 경우 선출 절차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추천위원회는 오는 28일 서류심사와 31일 면접을 통해 최종후보(1순위)와 예비후보(2순위)를 추천한 뒤 오는 4월 2일 이뤄지는 대표이사 선출 총회에서 최종후보에 대한 표결에 들어간다. 최종후보가 부결될 경우 예비후보를 놓고 투표를 진행하며, 예비후보마저 부결되면 재공모를 통해 후보 모집 절차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수산업계는 어시장이 현대화 사업 추진으로 제2의 도약을 앞둔 시기인 만큼 각 수협이 이번 선거에서 이해관계를 넘어 어시장 발전이라는 대의를 위해 책임 있는 선택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수산업계 관계자는 “현대화 사업, 그에 따른 대체 위판장 운영 등 차기 대표이사가 해결해야 할 임무가 막중하다”며 “앞서 2018년 선거에서 추천위원회 지명과 임시총회 부결을 반복하며 대표이사 선출이 6개월간 지연된 전례가 있는 만큼 업계에서도 경영 공백이라는 최악의 사태는 피해야 한다는 데에는 어느정도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