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6일 오후 경북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야산에 산불진화용 헬기가 추락해 당국이 사고 수습을 하고 있다. 헬기 조종사는 사고 현장에서 사망 한 채 발견됐다. 연합뉴스 |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경북 의성 산불 현장에서 임차 헬기로 진화 작업을벌이다 추락해 숨진 A(73)씨는 40년 비행경력을 자랑하던 베테랑 기장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추락 헬기가 30년 가깝게 운항한 노후기종인데다 헬기가 작업 중 전신주 선에 걸려 넘어졌다는 목격자 진술을 확보하고,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26일 강원도와 산림 당국 등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54분께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한 야산에서 A씨가 몰던 강원도 인제군 소속 S-76 기종 임차 헬기(담수 용량 1200ℓ)가 추락했다.
40년이 넘도록 헬기 조종사로 일하던 A씨는 2021년 임차 업체 에어팰리스에 입사했다.
사고 현장에는 화재 발생 넷째 날인 지난 25일 처음 투입됐다. A씨는 전날 오후 2시 인제에서 임차 헬기를 몰고 현장에 도착해 1시간 동안 진화 작업을 벌였다. 이후 오후 9시34분부터 추가로 1시간 동안 진화 작업을 했다.
사고가 발생한 이날은 오전 9시 34분부터 25여분간 작업했고, 이후 휴식 및 급유를 한 뒤 낮 12시 44분께부터 다시 투입됐다가 변을 당했다.
해당 업체에서 함께 근무한 동료 B(68)씨는 A씨를 두고 “차분하고 후배들에게 신망받던 선배”라며 “신앙심이 깊고 온화한 품성을 가졌고, 늘 동료들에게 따뜻한 말을 건네곤 했다”고 기억했다.
이번 헬기 추락 원인을 조사하고 있는 경찰에 따르면, 목격자 진술을 토대로 헬기가 짙은 연기에 가려진 전신주를 미처 보지 못하고 선에 걸렸을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당시 사고 현장을 본 목격자는 “헬기가 공중 진화 작업 중 전신주 선에 걸려 땅으로 떨어졌다”고 전했다.
화재진압 헬기 조종 경력이 있는 강원도 한 소방대원은 “진화 헬기 앞부분에는 전선을 자를 수 있는 기기가 설치돼있어서, 조종사는 걸리는 선들을 자르면서 불길에 접근한다”며 “하지만 연기 때문에 앞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상황이었다면 전선을 자르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두번째 가능성은 헬기의 기계적 결함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사고가 난 기종은 1995년 7월에 생산돼 30년 가까이 운항했다.
사고가 난 기종이 강원도의 임차 헬기인 만큼 김진태 강원지사는 의성 현장으로 출발해 헬기 추락 사고 현장을 살펴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