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팹리스·소부장 기업 등 경쟁력 강화
1000억 규모 펀드로 원전생태계 발전 투자
![]() |
반도체 생산공정 현장 [헤럴드경제DB] |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금융당국이 올해 1200억원 규모의 반도체생태계펀드를 추가 조성한다. 내년과 내후년에도 총 6800억원을 증액해 현재 3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1조1000억원까지 확대해 반도체 팹리스(설계 전문) 및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
원자력발전 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1000억원 규모의 원전산업성장펀드도 올해 조성해 운용한다.
금융위원회는 26일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제10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를 열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재정투입펀드 운용방안을 발표했다.
일단 올해부터 3년에 걸쳐 반도체생태계펀드가 1조1000억원 규모로 확대된다.
반도체생태계펀드는 2023년 6월 제3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에서 발표돼 3년간 3000억원 규모로 조성·운영돼 왔다. 이는 지난해 6월 관계부처 합동의 반도체 생태계 종합지원 방안에 의해 재정이 투입된 펀드로 발전했으며 규모도 8000억원 증액하기로 했다. 지난해 말 국회에서 반도체생태계펀드를 위한 예산이 반영·확정됨에 따라 올해분 1200억원이 신규 조성된다.
이번 펀드 조성에는 당초 계획 대비 IBK기업은행이 100억원, 성장사다리2펀드가 100억원, 한국산업은행이 50억원 등 총 250억원의 자금을 추가로 출자해 빠른 펀드 결성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공공자금 출자가 300억원에서 550억원으로 늘었고 민간자금 유치는 600억원에서 350억원으로 줄었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민간자금 유치 부담이 줄어든 만큼 신속하게 결성·투자해 반도체 생태계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두산에너빌리티가 주기기를 제작·공급할 예정인 미국 와이오밍주 테라파워 SMR 발전소 조감도. [두산에너빌리티 제공] |
아울러 금융위와 산업통상자원부가 협업해 소형원자로(SMR) 등 원전 생태계 발전을 위한 1000억원 규모의 원전산업성장펀드를 신설한다.
재정 350억원, 산업은행 50억원, 한국수력원자력 300억원 등 총 700억원의 자금을 마중물로 민간자금을 300억원 이상 유치해 총 1000억원 이상을 원전 생태계의 발전에 투자할 계획이다.
원전산업을 영위하는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펀드로 SMR 관련 기업에 일정 수준 이상을 투자하도록 유도해 원전산업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지원한다. 김 부위원장은 “원전은 우리 경제의 유망한 수출산업”이라며 “재정과 산은, 한수원의 협업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협의체는 이날 정책금융기관의 자금조기집행 현황도 점검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정책금융지원협의회 소속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 4개 기관과 한국수출입은행 등 5개 정책금융기관은 지난 21일까지 총 75조8000억원의 자금을 공급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조7000억원 많은 수치다.
특히 이달 17일부터 일주일간 13조원 이상의 자금을 공급하는 등 재무제표가 점차 확정되면서 자금 집행은 빨라지고 있다.
5개 기관은 다음달 말까지 전년(109조3000억원) 대비 13조원 확대된 122조원 이상의 자금을 산업현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연간 공급계획의 60%를 상반기 내 달성하는 게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