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인여신 점검조직·감사자문단도 신설
![]() |
IBK기업은행이 최근 적발된 대규모 부당대출 사건의 재발을 막기 위해 내부통제를 강화하는 쇄신을 발표했다. [IBK기업은행] |
[헤럴드경제=유혜림 기자] IBK기업은행이 최근 적발된 대규모 부당대출 사건의 재발을 막기 위해 내부통제를 강화한다고 26일 밝혔다. ‘쇄신위원회’도 신속하게 출범시켜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가가겠다는 방침이다.
김성태 행장 등 기업은행 임원과 지역본부장, 심사센터장, 내부통제 관련 부서장들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기업은행 본점에서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IBK 쇄신 계획’을 발표했다. 김 행장은 “이번 일로 IBK에 실망했을 고객님과 국민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금융감독원의 감사 결과를 철저한 반성의 기회로 삼아, 빈틈없는 후속조치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 등 신뢰 회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이 적발한 기업은행 부당대출(882억원 규모)에는 전현직 임직원을 포함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20여명이 연루됐고, 관련자들이 대거 금품과 골프접대 등을 받은 정황도 포착됐다. 기업은행의 2월 말 현재 부당대출 잔액은 535억원으로, 이 중 17.8%인 95억원이 부실화됐고 향후 부실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게 금감원의 진단이다.
쇄신 계획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앞으로 임직원 친인척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이해 상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모든 대출 과정에서 담당 직원과 심사역으로부터 ‘부당대출 방지 확인서’를 받을 방침이다. 직원 자신이 취급한 대출과 관련해 이해 상충이 없다는 사실을 일일이 문서로 남기라는 뜻이다.
이와 함께, ‘승인여신 점검 조직’도 신설해 영업과 심사업무 분리 원칙이 철저히 지켜지도록 점검할 계획이다. 또 검사업무 비위 등을 내부 고발하는 외부 전문가를 영입하고,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감사 자문단’도 운영하기로 했다. 내부자신고 독립 채널을 신설하고, 내부고발자에 대한 불이익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체계도 조속히 추진한다.
기업은행은 이런 쇄신 계획이 일회성 선언에 그치지 않도록 ‘IBK쇄신위원회’도 조만간 출범시켜 내부통제 전반을 관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회의에서 김 행장은 “IBK 임직원 모두가 ‘곪은 곳을 송두리째 도려내어 완전히 새롭게 거듭난다’는 환부작신(換腐作新)의 자세로 업무에 임해 주기를 당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