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 |
[헤럴드경제=김주리 기자] 경북 산불의 이면에는 나무를 심는 식수 정책이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경북 북부는 산불에 취약한 소나무 숲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곳이다.
또 숲에서 차지하는 소나무 비율도 경북이 가장 높아 수종 전환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등의 의견이 나온다.
27일 산림청 임업통계연보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경북 소나무(소나무·해송) 숲 면적은 45만7902㏊로 강원(25만8357㏊), 경남(27만3111㏊)보다 훨씬 넓어 전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
산림 면적 중 소나무 숲이 차지하는 비율도 약 35%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소나무 송진은 테라핀과 같은 정유물질을 20% 이상 포함해 불이 잘 붙고 오래 타는 특성이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나무는 활엽수보다 1.4배 더 뜨겁게 타고, 불이 지속되는 시간도 2.4배 더 길다.
이 때문에 산불에는 소나무가 가장 취약한 수종이란 평가를 받는다.
또 소나무는 겨울에도 잎이 그대로 붙어 있어 나뭇가지나 잎이 무성한 부분만 태우고서 확산하는 수관화(樹冠火)가 발생하기도 쉽다.
수관화가 생기면 많은 불똥이 만들어지고 불이 수십∼수백m 날아가는 비화(飛火) 현상이 생긴다.
지난 22일 산불이 시작된 의성을 비롯해 확산한 안동, 청송, 영양, 영덕에도 소나무 숲이 많았다.
이에 따라 재해 복구 사업을 할 때는 상대적으로 불에 강한 활엽수 중심의 내화수림대를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자주 나온다.
이병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재난·환경부장은 “소나무가 국내에 잘 적응한 수종이지만 불에 잘 타는 단점이 있다”며 “소나무는 죄가 없는 만큼 다 솎아베기하자는 것은 아니고 주택가나 발전소 주변 등 지켜야 할 대상 주변에 있는 소나무만 솎아베기하는 편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