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투 더 퓨처 보는 듯” 첫시즌 성공한 TGL, 시즌2는 더 크게, 더 재미있게

리키 파울러가 TGL 개막전에서 스크린을 향해 샷을 날리는 모습 [AP]


[헤럴드경제=조범자 기자] 타이거 우즈(미국)와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가 함께 만든 스크린골프 리그 TGL이 첫 시즌을 마쳤다. 성공적인 출발로 평가된 TGL은 한층 더 확장된 모습으로 내년 시즌2를 선보일 계획이다.

TGL은 26일(한국시간) 저스틴 토머스와 패트릭 캔틀레이, 빌리 호셜, 루커스 글로버(이상 미국)가 소속된 애틀랜타 드라이브 GC가 초대 챔피언에 오른 것으로 첫 시즌을 마무리했다.

현지 언론은 “시즌1의 유일한 단점은 우즈와 매킬로이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한 것”이라고 할 만큼 기대를 뛰어넘는 시즌으로 평가했다.

투모로우 골프 리그의 이니셜을 딴 TGL은 말그대로 미래형 골프를 표방했다. 기술이 접목된 팀 골프 리그(Tech-infused Team Golf League)다.

가로 19.5m, 세로 16m의 대형 스크린이 설치된 약 7000평 규모의 실내 전용 경기장부터 혁신의 시작이었다. 핀까지 50야드 이내의 샷을 할 경우엔 그린존으로 옮겨 경기를 이어간다. 농구장 4개 면적에 해당하는 그린존에는 지름 37.5m의 그린을 3개의 벙커와 둔덕이 둘러싸고 있다. 그린 아래엔 567개의 유압식 잭이 장치돼 있어 홀마다 무한대로 그린 경사도를 변경할 수 있게 했다.

1월 8일 개막전은 91만 9000명의 시청자를 불러 모았다. 한 주 앞서 열린 PGA 투어 시즌 개막전 더 센트리보다 두 배에 가까운 수치다. 우즈가 첫 출격한 2주차엔 100만5000명을 기록했다.

시청자수는 이후 다소 감소했지만, 다른 프로스포츠 시청자와 비교해 평균연령이 낮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TGL 시청자의 평균연령은 51세.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52세), 포뮬러원(F1·53세), 미국프로풋볼NFL·54세),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60세)보다 낮았다.

타이거 우즈(오른쪽부터)와 김주형, 케빈 키스너가 TGL 경기에서 환호하는 모습 [AP]


시뮬레이터 골프의 기술적인 측면도 눈길을 모았지만, 이보다 더 큰 매력은 스타 선수들의 다양한 퍼포먼스와 대화 내용을 가까운 거리에서 보고 들을 수 있다는 데 있었다.

USA투데이는 “히트상품은 마이크였다. 선수들이 마이크를 착용하고 실시간 대화를 들려준 점이 흥미를 끈 요소였다. 2026년에도 이는 그대로 유지되길 바란다”고 했다.

실제로 마이크를 통해 1975년생 우즈가 2002년생 김주형에게 “난 네가 태어나기 전에 마스터스에서 세 번 우승했다”고 말하거나, 경기가 안풀린 케빈 키스너가 “(우즈 아들) 찰리가 나 대신 출전했으면 좋겠다”고 푸념하는 모습, 우즈가 남은 거리 199야드를 착각해 99야드 샷을 날렸을 때 동료들이 “뭐하는 거냐, 웨지를 든거냐”고 폭소를 터뜨리는 등의 사소한 대화와 장면들이 보는 재미를 더했다.

또 칩샷이 들어갔다고 생각해 웨지를 던지는 세리머니를 했다가 공이 들어가지 않자 머리를 감싸 폭소를 유발한 김주형, 수차례 클러치 샷을 만든 뒤 흥분을 주체하지 못하고 방방 뛴 빌리 호셜, 작고하기 전 관중석에 앉아 경기를 지켜보는 어머니 쿨티다에게 “엄마, 오늘은 저번 경기처럼 엉망은 아닐 거예요”라며 따스한 눈길을 보낸 우즈 등 일반 필드 대회였다면 보기 어려웠을 인간적인 모습도 시청자들에게 그대로 전달됐다.

TGL은 출범 전 ‘체육관에서 펼쳐지는 e스포츠 게임같은’ 골프라며 고개를 갸웃한 이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골프도 성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뉴스위크는 “새로운 시뮬레이터 골프 리그의 미래를 보여줬다”고 했다. LIV골프에서 뛰고 있는 필 미컬슨조차 “TGL이 성공한다면 골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긍정적인 평가를 하기도 했다.

미국 플로리다에 위치한 TGL 경기장 전경 [제네시스 제공]


TGL은 두번째 시즌 확장에 나선다. 내년에는 더 많은 선수와 팀이 참여해 리그가 확대될 것으로 현지 언론들은 내다봤다.

골프위크는 볼티모어 레이븐스와 디트로이트 라이온스 등 미국프로풋볼(NFL) 뿐 아니라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미국프로농구(NBA) 등 주요 프로스포츠 구단 오너들이 소파이 센터를 찾으며 큰 관심을 보였다고 전했다. 소파이 센터에 더해 서부지역에 경기장을 추가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여자 선수들의 출전 가능성도 높아졌다. 선수 시절 남자 선수들과 대결에 적극적이었던 US여자오픈 챔피언 미셸 위 웨스트는 CNN과 인터뷰에서 “미쳤다. 영화 ‘백 투 더 퓨처’를 보는 느낌이었다”며 “남녀 선수들이 같은 경기장에서 경쟁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직접 확인했다”고 흥분했다. 미셸 위 웨스트는 올해 TGL에 LA 골프클럽 구단주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세계랭킹 남녀 1위 스코티 셰플러와 넬리 코르다의 합류 가능성도 점쳐진다.

뉴스위크는 “TGL 첫 시즌은 기대 이상이었다. 앞으로 확장될 여지가 충분하다”며 “TGL의 첨단 기술과 스피디한 경기는, 이런 요소들을 좋아하는 젊고 새로운 팬들을 더 많이 끌어당길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