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 韓, 핵융합 핵심기술 확보…‘국제핵융합실험로’ 1조 6천억 수주

- 국제핵융합실험로 삼중수소 저장·공급 시스템 조달약정 체결


조립이 완료된 ITER 진공용기 섹터.[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꿈이 현실로.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한국이 주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을 위해 우리나라가 담당하는 삼중수소 저장·공급시스템(SDS: Storage and Delivery System)을 조달하는 약정을 26일(현지시간) ITER 기구와 체결했다고 밝혔다.

‘삼중수소 SDS’는 우리나라가 ITER 기구에 조달해야 하는 9개 조달 품목 중 마지막 핵심 품목으로, 2027년까지 최종 설계를 완료하고 2030년까지 제작 조달할 계획이다.

‘삼중수소 SDS’는 ITER 장치의 연료 주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 품목이며, 핵융합의 연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공급하기 위하여 설계된 시스템이다. 안전한 연료 저장과 안정적인 연료 공급을 위한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높은 기술 수준이 요구되는 품목이다.

이번 조달약정을 통해 우리나라 주도하에 ITER 핵심 장치를 최종 설계·제작하는 과정에서 ITER 핵융합 연료주기 시스템 완성을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우리나라는 2003년 ITER 가입 이후 현재까지 ITER 공동개발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한국 기업 등은 약 1조 6000억원 규모의 조달 수주액을 달성했다.

우리나라는 할당된 초전도 도체, 진공용기, 열차폐체 등 총 9개 핵심 장치 및 부품 개발·제작에 약 8300억원을 국내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담당하고 있다. 이를 통해 축적된 국내 산업체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ITER 기구 및 타 회원국으로부터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아 약 7700억원의 추가 해외 수주 실적도 달성했다.

피에트로 바라바스치(왼쪽) ITER 사무총장과 정기정 ITER한국사업단장이 협약 체결 후 악수하고 있다.[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과기정통부는 ITER 참여 과정에서 획득한 연구자들의 연구개발 성과와 국내 기업들의 제작 역량은 핵융합에너지 확보 경쟁이 격화되는 글로벌 환경에서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주도권을 확보하는데 큰 힘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정택렬 과기정통부 공공융합연구정책관은 “ITER 핵심부품 및 장치 조달 과정에서 축적한 연구개발 역량과 국내 산업체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 수주를 확대하고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여, 핵융합에너지 실현을 가속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