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파병 북한군 4000명 사상…3000명 또 파병
![]() |
북한군이 전선지역에서 작업을 벌이던 중 지뢰가 폭발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군이 동부전선 지뢰폭발로 인한 사상자를 들것으로 후송하고 있다. [합참 제공] |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군이 전선지역에서 작업을 벌이던 중 지뢰가 폭발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지난 1~2월 러시아에 3000여명 이상을 추가 파병한 것으로 파악됐다.
합동참모본부는 27일 배포한 ‘최근 북한군 동향’에서 이같이 밝혔다.
합참은 “작년 말 동계훈련을 위해 일시 중단했던 전선지역 작업은 이달 초부터 수십여 명에서 수백여 명을 투입해 북한 스스로를 봉쇄하는 철책 보강 등의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며칠 전 지뢰폭발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교대 투입병력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지뢰 폭발은 올해 들어 처음인데, 작년에는 20여 차례의 크고 작은 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군은 비무장지대(DMZ) 내 경의선 송전탑 11개를 철거했지만 MDL 이북 첫 번째 송전탑은 그대로 둔 채 지난달 감시용 CCTV 1대를 설치하는 등 사실상 감시탑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 합참은 “우리 경계작전에 직접 위협은 되지 않는다”면서 “우리 작전활동이 북한군에게 노출될 수도 있어 이를 유념해 경계작전 및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북한은 작년 12월 이후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 건물 자재 반출도 수개월 째 지속 중이다.
군은 통일부 등 유관기관과 함께 향후 건물 처리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 |
북한군이 경의선 34번 송전탑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고 있다. [합참 제공] |
이와 함께 합참은 북한이 한미 연합연습 ‘자유의 방패’(FS) 이후 다양한 도발에 나설 수 있다고 보고 감시 및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과 각급 기관 명의의 담화를 통해 한미 연합훈련과 미 전략자산 전개에 대해 비난공세를 퍼붓고 있어 고체 추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비롯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잠수함발사순항미사일(SLCM),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등 발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예의주시 중이다.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도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참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동향과 관련해서는 국내외 정보기관과 정보공조를 하고 있다”면서 “파병된 북한군 1만1000여명 중 약 40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1~2월간 약 3000여명 이상이 증원개념으로 추가 파병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군은 병력뿐 아니라 미사일과 포병장비, 탄약 등도 계속 지원하고 있다.
합참은 “현재까지 상당량의 SRBM과 170㎜ 자주포 및 240㎜ 방사포 22여문을 지원한 것으로 평가되는데 전황에 따라 증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